'이주민도 시민이다'[민생회복 소비쿠폰 평등 지급]

2025-07-23     김동길 기자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뉴스클레임]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청이 지난 21일 시작된 가운데, 이주인권단체가 이재명 정부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평등을 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전국 이주인권단체는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주민을 차별하지 말고, 이주민 내의 차별을 조장하지 말고 비차별과 평등의 원칙에 따라 모든 이주민들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이들은 "이재명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했지만 올해 6월말 현재 273만에 이르는 한국사회 이주민 가운데 해당되는 이들은 결혼이주민, 영주권자, 난민인정자밖에 없다. 이는 대다수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배제에 다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또 "모든 이주민은 경제활동, 소비활동을 하고 있으며 민생의 어려움을 똑같이 느끼는 이 사회의 구성원이다. 코로나 재난 당시에도 재난지원금에서 대다수 이주민을 배제하고 차별하더니 왜 이런 차별정책을 반복하는 것이냐"라며 "이주민 300만 시대를 준비한다고 하는 정부가 이래서야 되겠느냐"라고 따져 물었다.

23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공동 기자회견'. 사진=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이들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차별 진정을 이주민 40여명과 이주인권단체 공동으로 집단적으로 제기한다. 인권위는 신속히 차별 시정 권고를 해주시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