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누군가는 뜨거운 도로 위에 있다"

라이더유니온지부, '배달라이더 안전협의체’ 구성 촉구

2025-08-06     박명규 기자
라이더유니온지부가 새 정부와 배달 플랫폼 기업들에 배달라이더의 생명과 권리를 위한 ‘(가칭)배달라이더 안전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사진=라이더유니온

[뉴스클레임]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배달라이더들의 건강과 안전 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동계는 폭염 속 배달 노동의 현실을 이야기하며, 제도적 보호장치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이하 지부)는 지난달 새 정부와 배달 플랫폼 기업들에 배달라이더의 생명과 권리를 위한 ‘(가칭)배달라이더 안전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안전운임제 도입: 과도한 프로모션 제재 및 기본운임 현실화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확대: 폭염·폭우 대응, 쉼터 설치, 알고리즘 공개 등 ▲라이더 자격제 및 대행사 등록제: 유상보험, 안전교육 의무화 ▲개인정보 보호 대책: GPS 24시간 추적 금지, 명의도용 방지 등의 의제를 제안했다.

이들은 이 자리를 통해 폭염 속에서도 쉴 수 없는 배달노동의 현실을 집중 조명했다. 특히 "폭염에도 쉼 없이 일해야 하는 구조는 개인의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강요"라며, 이는 플랫폼 기업들이 법적 기준조차 무시한 채 노동자의 안전과 생명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라이더들은 배달플랫폼 기본운임이 낮아지면서 악천후에도 일을 강행하는 노동자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어 정부를 향해 플랫폼·특수고용 노동자 노동조건을 논의할 노사정 협의체를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라이더유니온지부 창원지회는 "살인적인 폭염에도 평소 2000원 운임을 받는 배달라이더들은 폭염 할증을 받기 위해 온열질환 증상을 호소하며 일한다. 배달라이더의 안전에 대한 법적, 제도적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배달 노동에는 폭염 시기 조치나 운임 기준, 라이더 보험 가입 등 법적, 제도적 기준이 없다. 결국 플랫폼 사가 모든 결정권을 행사하면 배달 노동자는 따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송성헌 창원지회 비대위원장은 "지금도 누군가는 30도가 훌쩍 넘는 도로 위에서 배달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배달 없이는 음식, 물류, 지역 경제를 움직일 수 없다. 라이더가 있어야 플랫폼의 미래도 있다. 배달 노동의 기준을 바로 세우기 위한 첫걸음으로 배달라이더 안전협의체 구성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같이 배달라이더들, 노동계는 '배달라이더 안전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며, 근본적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한 라이더들의 건강권과 생명권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위협받을 것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