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폭우참사 3주기, 희생자 추모 문화제 열려
기후재난 불평등이 재난이다.
지난 2022년 8월 8일과 9일 집중호우로 서울 관악구와 동작구 반 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일가족 등이 사망하는 폭우 참사가 벌어졌다. 이에 3주기를 앞두고 37개 노동·주거·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반지하 폭우참사 3주기’추모행동’이 모여 추모문화제’를 개최하였다.
이에 앞서 추모행동은 6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후재난 희생자를 추모하며, 새 정부에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정의로운 전환과 재난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권리, 모두를 위한 주거권 보장’을 요구했다. 추모행동의 자료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 지원으로 반지하를 벗어난 가구는 서울시 전체 반지하 가구의 약 3%에 불과하고, 서울시의 지난 3년간 반지하주택 매입 호수는 790여 호에 불과했다. 서울시의 매입임대주택 공급 실적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서울시가 침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반지하 주택 중 여전히 1/3은 최소한의 침수방지시설인 물막이판조차 설치되지 못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같은 6일 오후 7시 홍대입구역 7번 출구 앞에서 추모 문화제가 개최되었다. 첫 번째 추모 발언으로 임형덕,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조직국장에 따르면, “발달장애인을 소재로 만든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언급하면서 지난 3년 전 집중호우로 일가족과 장애인 등이 사망한 사건은 드라마처럼 환상적인 이야기가 될 수 없다”며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며, ‘장애인 자립의 법’이 제대로 만들어지기 위해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위기 피해자 발언으로 김호태 동자동사랑방 전 대표는, “동자동은 서울역 앞에 있는 가난한 동네라며, 반지하 주택과 쪽방 등에 재정이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그리고 “지하방을 없애는 것도 실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부와 서울시가 약속한 동자동 주거대책도 여전히 미진하다.”며 함께 살자고 힘주어 말했다.
이 밖에도 비닐하우스촌 주민 이춘숙, 과천꿀벌마을 화재민대책위에 따르면 “마을 58가구가 전소되면서 긴급주택을 여덟 가구만 제공해 남은 사람은 135일을 거리에서 싸우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책을 받은 여덟 가구도 한 달에 40에서 50만 원씩 주거비용을 주고 나면 먹고 살 게 없다.” 며 “그 지역에 사는 본인이 살기를 원한다면 생활 형편에 맞는 주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해마다 비닐을 새로 씌워야 하고, 기후가 자꾸 뜨거워지니 집보다 밖이 오히려 더 시원하다”며 서울시의 정책은, 온전한 주거권 요구에 역행하며 기후위기와 주거 불평등을 부추기는 개발규제 완화에 몰두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기후위기 피해자 발언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박초현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서울지부 공동대표는 “2022년 서울에 쏟아진 폭우로 일가족이 누구의 손길도 받지 못한 채 갇혀 집안에서 목숨을 잃었다.”며 이는 자연이 만든 죽음이 아니라 사회가 만든 죽음이라고 하였다. “특히 장애인은 가족과 함께 산다는 이유로 필요한 만큼의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 활동 지원사가 그 시간 있었더라면 구원의 손길을 받았을 거다. 장애등급제가 가짜 폐지되면서 우리는 또 하나의 동료를 떠나보내야 했다.”라고 안타까워했다.
조은혜, 기후정의동맹 활동가는 며칠 전 SNS에서 화제가 된 사진을 언급하며 “기후위기 시대에 일하는 건설 노동자, 택배 노동자, 에어컨을 수리하는 노동자, 이주노동자, 농부, 가스 검침원, 등 너무나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일터로 나가 열사병으로 죽어도 멈출 선택지도 없는 현실이 문제”라고 말했다. 기후위기를 진짜 재난으로 만드는 것은 결국 짜여진 사회구조와 규칙들이라며, 광화문 광장에서 힘차게 ‘기후정의’를 위해 모이자고 외쳤다.
마지막으로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다짐의 글’을 다 함께 낭독하고 행진했다. ‘추모행동은’ 시민들에게 “불평등이 재난이다. 산불과 폭우로 인한 기후재난 피해가 극심했고,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리고 새 정부가, 반지하 폭우 참사 3주기를 맞아 불평등 해결을 위한 사회 공공성을 강화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기후 정의에 기반한 주거권 보장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