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스코이앤씨 등 안전 없는 죽음의 일터 퇴출돼야
올해 들어 포스코이앤씨에서만 4건의 사망 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가 28년 만에 건설업 면허취소를 공식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생명·안전을 등한시한 기업은 퇴출돼야 한다”며 건설업계 전체에 강한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한 기업을 겨냥한 ‘엄포’가 아니라, 한국 건설산업 전체의 관행과 구조를 뿌리째 뒤흔들고 있다.
포스코이앤씨의 면허가 실제로 취소된다면, 이는 1997년 성수대교 붕괴 이후 국내에서 처음 일어나는 일이다. 면허가 말소될 경우 사업 자체가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회사와 그룹 전체에 심각한 신뢰도 하락·공공사업 수주 제한 등 존립 리스크가 현실화된다. 업계 전반에서 “이번 일은 결코 포스코이앤씨 하나의 문제가 아니며, 안전관리에 실패한 어떤 기업이라도 동일하게 치명적 결과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 건설현장은 산업재해 사망의 구조적 위험지대다. 사고의 상당수가 방치된 하도급, 형식적인 안전관리, 공정 단축 압력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경영진·현장·실무자 모두의 의식 대전환 없이는 언제든 ‘다음 차례’가 자신일 수 있다. 특히 최근 중대재해처벌법 강화와 대통령의 직접 언급이 겹치면서, 한 차례의 대형사고도 곧바로 면허취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된다.
건설사들은 이제 안전이 단순한 비용 항목이 아니라, 회사의 존폐·시장 신뢰·경영리스크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임을 받아들여야 한다. 노동자 사망이 발생한 현장과 이를 관리·감독하는 본사 모두, 더 이상 관행이라는 핑계나 일회성 개선조치로 무마될 수 없다.
이번 정부의 조치는 부실·방치·위험중시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꿀 마지막 기회임을, 모든 건설사가 직시해야 한다.
이제는 시장도, 정부도, 국민도 “사고 많은 건설사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공감대를 새롭게 형성하고 있다.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는 경각심이, 현장 곳곳에서 실질적 변화로 이어질 때만이 진짜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검토가 단순 엄포로만 끝나서는 안 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