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람 죽어나는 일터보단 낫다
건설업계, ‘산재와의 전쟁’ 미래 경쟁력 위한 절실한 변화
최근 건설업계에서 노동자 산재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정부의 안전관리 강화와 초강경 대응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일부 건설업계의 “사업 길이 막혔다” “공공입찰 제한 정책으로 경영 위축”이라는 하소연도 적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 매일 목숨을 잃는 현장이 과연 지속가능한 산업이라 할 수 있을까.
이번 DL건설·포스코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 현장 사망, 전국 작업 중단, 경영진 대거 사퇴는 산업 안전의 구조적 민낯을 그대로 드러냈다. 부실한 재하청 구조, 안전관리 미비, 현장 감독 소홀 등 ‘값싼 인명’에 기댄 산업 패러다임은 더이상 용납될 수 없다. 그런 시절에 비하면, 정부와 사회가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단 한 명의 사망에도 공공입찰 제한, 업무 직보, 중대재해처벌법 집행 등 호된 제재를 가하는 오늘은 그래도 한 걸음 더 나아간 길이다.
건설업계의 사업 위축과 경영 부담도 분명 존재한다. 안전예산은 늘고, 작업 일정 지연과 수주 차질, 중소업체 폐업까지 현실적 고통이 크다. 그러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인 ‘정당한 비용’이라는 분명한 인식이 자리잡아야 한다. 이 경쟁력 없는 일터, 살아남기만을 강요받는 현장이 국가경제의 미래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실로 돌아보면 조직 쇄신, 임원진 일괄 사표, 올스톱 작업, 안전결의대회, 현장 실명제 등, 산업 전체에 ‘생명의 가치’가 화두로 부상했다. 정부의 강도 높은 정책과 산업계의 혁신 시도가 거센 저항을 부르긴 하지만, 이는 모두를 위한 불가피한 전환이다. 안전한 일터는 곧 일류산업의 출발점이다.
건설업계가 변하지 않으면, 죽음은 반복된다. 정부의 초강경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시대의 요구다. 건강하게 일할 권리, 안전하게 퇴근할 권리, 존중받는 현장의 의미를 이제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 산업계의 고통은 결코 노동자와 시민의 목숨값보다 높지 않다.
이제 ‘죽음보다 나은 산업’, ‘경쟁력 있는 안전사회’를 위해 모두가 용기를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