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 총파업 나선 이유…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 오는 27일 총파업 공동투쟁 선포 죽지 않고 일할 권리 쟁취, 발전소 폐쇄에 따른 총고용 보장 요구 "파업 투쟁 이후 9월 27일 기후정의행진 2차 파업 예고"
[뉴스클레임]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27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공공운수노조 등은 2025년 임금 교섭에서 임금 인상 제안을 사실상 거부당했고, 다가오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고용 불안과 안전 문제 해결 없이는 더 이상 일할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을 밝혔다.
이어 ‘죽지 않고 일할 권리’ 확보와 발전소 폐쇄에 따른 ‘총고용 보장’을 요구하며, 정부와 사측에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동시에 9월 27일 기후정의행진에 맞춘 2차 파업도 예고했다.
올해부터 태안화력 1호기를 시작으로 2036년까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가 순차 폐쇄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발전비정규직연대 조사에 따르면, 폐쇄에 따른 누적 유휴인력은 1998명에 달할 전망이다. 이들은 대부분 비정규직 노동자로, 정부는 고용 안정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들은 “석탄화력발전소가 폐쇄된다고 해서 우리의 삶이 함께 사라져서는 안 된다”며 “정부와 사측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생계와 고용 문제를 책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동조합과 사측 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이 결렬되면서 8월 초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으나 20일 조정 중지됐다. 지난 5월부터 이어진 교섭 과정에서 사측은 기본급 1% 인상안 또는 임금 동결안만을 제시했으며, 발전소 폐쇄에 따른 고용 안정 대책도 내놓지 않았다.
이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일진파워노조 87.84%, 발전HPS지부 83.33%, 금화PSC지부 79.09%의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이 결정됐다. 노동자들은 “지난해 김충현, 김용균 노동자 사망 사고는 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 경고”라며 “더 이상 노동자의 희생을 묵과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고기석 수석부위원장은 “공공재생에너지법 관련 5만 명이 넘는 국민의 입법동의 청원이 이뤄졌다. 정부는 지금 당장 입법에 나서야한다"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파업 투쟁을 넘어서 오는 9월 27일 기후정의행진에 맞추어 2차 파업을 전개할"이라고 밝혔다.
박규석 지부장은 임단협 결렬과 파업 투표 과정을 설명하며 “사측이 역대 최대 이익을 거둔 상황에서도 임금 인상을 최소화하고 임금 동결 요구는 명백한 노동자 기만”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폐쇄되는 발전소에서 일자리를 잃을 노동자가 2036년까지 2000명에 이른다. 정부와 사측은 이들의 생존권과 안전을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지부장은 “공공 부문 전력산업 유지와 민영화 저지를 위해 공공재생에너지법 통과가 필수”라는 점도 호소했다.
김영훈 지회장은 지난 6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김충현 노동자 사고를 언급하며 “뜨거운 현장과 다단계 하청구조가 노동자의 생명을 위협한다”고 밝혔다.
이어 “발전소 폐쇄 앞에서 신규 인력 채용이 중단되고 남은 인원에게 업무가 과도하게 몰려 안전은 뒷전이다. 정부와 사측은 이 구조적 문제를 외면 말고 노동자 안전과 고용 안정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홍지욱 부위원장은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은 산업 전환과 정의로운 일자리 확보를 위한 필수 과정”이라며 “정부와 원청사는 노동자의 요구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민주노총도 연대해 강경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