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해킹 후폭풍… 노조 "총체적 참사, 김영섭 사퇴 불가피"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 278건·1억7000만원 달해 경찰 신고만 124건·피해액 8060만원 KT새노조 "늑장대응 김영섭 사장이 책임지고 사퇴해야"

2025-09-11     박명규 기자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일파만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KT새노조가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최종 책임자인 김영섭 사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뉴스클레임DB

[뉴스클레임]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피해 신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결제 내역에 본인 동의 없이 승인된 거래가 확인되면서 고객들의 불안감이 깊어지고 있으며, 피해 규모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여기에 회사의 미온적 대응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며 경영진의 책임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 등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는 278건, 피해액은 약 1억7000만원에 이른다. 경찰에 신고된 피해 건수는 124건이며 피해액은 8060만 원으로 집계됐다. 피해는 경기 광명, 서울 금천, 부천을 중심으로 나타났고, 부평, 과천, 영등포 등 타 지역에서도 비슷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면서 규모가 확산하는 중이다.

이번 해킹 사고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이용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통신 3사를 대상으로 불법 기지국 접속 여부 조사가 진행 중이다. 정부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모든 이동통신사의 신규 초소형 기지국 통신망 접속을 차단했다.

피해자 대부분은 KT 정규 가입자이며, 일부 알뜰폰 이용자도 포함된다. 경기도 광명에 거주하는 한 피해자는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새벽 시간대 자신도 모르게 40만원 넘는 무단 소액결제를 당한 사실을 뒤늦게 발견했다. 경찰에 신고한 후 환불 절차가 진행 중이지만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서울 금천구의 대학생은 생활비가 빠져 경제적 어려움을 토로했고, 경기 부천의 자영업자 역시 갑작스러운 피해로 사업 운영에 심각한 지장을 받고 있다.

KT새노조는 이번 사태를 “총체적 참사”라 규정하며 강도 높은 경영진 책임론을 제기했다. 

KT새노조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고객들은 추가 피해를 걱정하며 불안에 시달리고, 직원들은 경영진의 무책임에 대항하기 어려운 상황에 몰렸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기지국을 악용한 해킹이 집중된 것은 KT 보안망이 경쟁사 대비 취약한 탓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 개인정보 해킹 가능성도 제기돼 실태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피해 사실이 보고된 지 열흘 가까이 은폐되고, 국회에는 ‘확실한 이상 정황이 없다’고 허위 보고한 행위는 국민을 기만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소액결제 인증 절차가 미흡해 해커 공격에서 취약했던 점과, 유심 정보 탈취 위험에 대한 보완책이 부족한 점 역시 경영진의 책임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또 과거 아현화재, 부산 인터넷 대란 당시 반복된 책임 회피 관행도 이번에 그대로 드러났다고 했다. 

KT새노조는 “신뢰를 잃은 KT가 정상적인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번 사태는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상의 위기로, 최종 책임자인 김영섭 사장은 즉시 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