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KT ‘부당이익 없다’ 해명, 신뢰는 이미 떠났다
2025-09-16 박규리 기자
[뉴스클레임]
영화 표를 할인해준다며 통신사 멤버십 혜택을 내세우는 광고, 들여다보면 달콤함은 진작 사라졌다.
KT는 영화티켓 할인 이벤트를 화려하게 홍보했다. 주말 기준 1만5000원짜리 티켓이라며 4000원 할인 혜택을 강조했다. 실상을 파고들면, 영화관에서 7000원에 티켓을 대량으로 사들이고 소비자에게 1만1000원을 받았다. 할인이라는 명목 아래, KT는 적게는 4000원, 많게는 5000원의 이익을 챙겼다.
소비자는 멤버십 포인트를 써서 이득을 보는 줄 알았지만, 멤버십 구조는 오히려 기업 이익에 봉사했다. VIP 무료티켓, 1+1 혜택도 결국은 일반회원이 낸 돈에서 마련된다. 배급사, 제작사는 손해만 쌓인다. 영화티켓 가격이 오르고 관객은 줄었다. 영화산업에는 생존의 빨간불이 켜졌다.
KT의 해명은 늘 같은 말만 반복된다. "부당이익 없다. 운영 수수료만 빼고 나머지는 모두 극장에 정산한다." 하지만 이전 개인정보 유출 사태 때도 "피해 없다"며 고개를 저었고, 끝내 입장을 뒤집은 적이 있다. 소비자의 신뢰는 이미 등 돌렸다.
할인 마케팅의 본질은 기만이었다. 광고는 혜택을 내세웠지만 남는 건 분노 뿐이다. 소비자는 더 이상 속지 않고, 무너진 신뢰의 책임은 KT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