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추지 않는 청년 수도권행… 지방은 소멸 위기 속 신음
20년간 수도권 청년 순유입 101만, 중장년 40만명 탈지방
[뉴스클레임]
수도권으로 향하는 청년 행렬은 멈출 기미가 없다. 현장엔 정책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빈 틈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19~34세 청년은 해마다 수도권으로 몰린다. 올해 수도권 순유입 청년은 4만5000명을 넘었고, 40~64세 중장년은 4만4000명 이상 순유출됐다. 20년 동안 청년 순유입은 101만8310명, 중장년 순유출은 40만4405명에 달했다. 지방은 청년 이탈과 중장년 유입이 동시에 벌어지며 소멸 위험이 가속화되고 있다.
청년이 수도권을 찾는 이유로 일자리와 교육 등 경제적 동기가 가장 강하게 꼽힌다. 2023년 서울로 온 청년 가운데 46%는 전입 사유로 ‘직업’을 들었다. 이어 가족(약 19%), 교육(15%) 순이었다. 지방 유출 청년들은 “지원금이 있어도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일자리만 제대로 있다면 지방에 머물겠다. 서울에서 사는 건 너무 힘들다”고 목소리를 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청년 정착지원, 주거비·취업 연계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했지만, 세종시 등 시범사업마저도 지방 잔류율 반등에는 역부족이었다. 실제 청년들은 “지원만으론 생활환경과 직업 안정성이 달라지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도 기초 인프라, 일자리 질, 도시문화 환경 등 복합적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지역 일자리 연구를 진행한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일자리 구조가 서비스 중심으로 바뀌고 4차 산업혁명이 가속되면서, 더 이상 산업단지 유치만으론 청년을 잡기 어렵다. 인재가 모이는 곳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함께 이동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정책 방향은 단순 교통이나 산업 인프라에서 벗어나 사회적 자본과 인재가 균형 있게 집적될 수 있게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방소멸을 막으려면 중소기업 임금과 일자리 질을 개선하고,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생활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에 청년이 집중되고 지방에 중장년이 유출되는 흐름이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 국가 균형 발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지역 여건에 맞춘 해법과 청년 중심 정책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