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해킹 ‘은폐 논란’ 청문회 앞두고… "경영 책임·허위 해명, 김영섭 사장 사퇴"
피해자 보상·보안 체계 전면 재점검 요구
[뉴스클레임]
24일 KT 해킹 사태를 둘러싼 국회 청문회가 열리기 앞서, KT새노조가 '허위 해명과 은폐, 무책임한 경영'을 비판하며 김영섭 사장 사퇴를 촉구했다.
KT새노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KT의 고질적인 경영 문화가 낳은 심각한 인재(人災)”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초기엔 ‘문제없다’, ‘개인정보 해킹은 없다’고 단언했던 KT의 해명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자 번복됐고, 결국 허위 해명이었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KT의 모든 자원이 낙하산 경영진을 보위하는 데 집중돼 있다”며 정치권 낙하산 인사인 이른바 ‘정피아’들로 인해 전문성과 책임 없는 경영이 계속됐다고 비판했다.
KT노조는 또 “직원 희생을 부른 강압적 구조조정과 노조 탄압이 퇴행적 경영 문화의 단면”이라며 “김영섭 사장이 임기 연장을 위해 사태를 축소·은폐했을 의혹도 떨칠 수 없다. 회사의 위기를 투명하게 알리고 해결하기보다는 본인 자리 보전에만 몰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KT가 더 이상 미봉책으로 위기를 넘길 수 없음을 이번 해킹 사태가 보여준다"며 “김영섭 사장이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것이 국민 신뢰 회복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KT의 반복된 축소·은폐, 피해자 보호 대책 미비, 국가 기간통신망 사업자로서의 책임과 자격에 대한 집중 추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해킹 사고 인지와 대응 지연 ▲피해 사실 은폐 및 허위 해명 논란 ▲무단 소액결제 등 금전적 피해 규모와 원인 ▲전체 고객 대상 보상·사후조치 미흡 ▲서버 폐기 및 사고 경위 은폐 의혹 ▲안전한 인증체계·통신망 보안 강화 필요성 등 핵심 쟁점이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서 비중 있게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