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평등한 일상', 추석 명절에도 머나먼 이야기

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차별 철폐 없이 평등한 명절 없어" "안전은 권리, 정당한 운임은 상식… 정부가 제도 보완해야"

2025-09-24     박명규 기자
2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 노동자 차별 해소 촉구 추석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추석 연휴를 일주일 여 앞둔 24일,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부에 정규직 전환과 차별 철폐, 플랫폼 노동자 안전 보장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학 나섰다. 이들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 모여 “차별 없는 평등한 명절이야말로 민생의 출발점”을 외쳤다.

공공운수노조는 이날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차별적 수당 철폐 ▲공무직 제도화 ▲용역·하청 구조 개선 ▲플랫폼 노동자 안전 보장 등 다섯 가지 현안 과제를 제시했다. 이들은 “명절조차 차별받지 않는 사회야말로 민생을 위한 출발”이라고 강조하며, 정부가 실질적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발언에 나선 이윤희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지난 3개의 계절 동안 우리는 시민들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켜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며 현실을 짚었다. 

그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전히 미완의 정규직 전환을 걸고 싸워야 하고, 공무직 노동자는 제도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채 명절 상여금에서조차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민간부문 비정규직은 원청과의 합의조차 지켜지지 않아 매년 농성을 반복한다”며 “대학교에서는 비정규직에게 와이파이 비밀번호조차 제공하지 않는 차별이 벌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죽음의 공포, 고용 불안, 차별의 분노를 넘어 평등한 일상의 문을 열어야 한다. 이재명 정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배달노동자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김지수 라이더유니온지부 사무국장은 “플랫폼은 콜 수락 시간을 40초로 줄여 신호 대기나 승강기 안에서도 응답을 강요하고, 응답하지 못하면 불이익을 준다"면서 "명절에도 쉼 없이 달려야 하는 구조에서 사고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플랫폼을 향해선 ▲배달노동자를 포함한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에게 산업안전보건법을 전면 적용하고, 사고 위험을 초래하는 설계를 중단할 것 ▲현실적인 최저보수제를 도입하고 운임 삭감을 막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 ▲알고리즘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노동자와의 교섭에 책임 있게 임할 것 등을 요구했다. 

김 사무국장은 "효율만 앞세우는 구조 속에서 ‘오늘도 무사히’라는 말이 일상 인사가 됐다"며 "안전은 특권이 아니라 권리고, 정당한 운임은 시혜가 아니라 상식이다. 이번 명절을 계기로 차별 없는 노동조건을 향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