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직격탄, 유통 노동자 ‘고용붕괴’ 위기
7일 '산업전환기 유통산업 위기 대책 촉구 기자회견 개최 서비스연맹 “정부, 산업전환기 노동자 고용안정 대책 시급히 마련해야”
[뉴스클레임]
디지털 전환과 오프라인 매장 구조조정이 맞물리며 유통산업 종사자들의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서비스연맹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전환기 유통노동자의 고용안정과 지역상생 대책을 포함한 6차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 수립을 정부에 촉구했다.
서비스연맹은 온라인 중심의 산업구조 재편이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폐점·감원·비정규직 확대가 이어지는데도, 정부 차원의 대응체계가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또 최근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약 10만 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기업 문제가 아닌 사회적 위기라고 주장했다.
정민정 서비스연맹 사무처장은 “디지털 전환이 매장 통폐합으로 이어지고 야간노동이 늘어 근무 환경이 악화됐다”며 “정부가 노동자의 고용을 지킬 구체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발언대에 선 유통노동자들은 각자의 일터에서 벌어지는 고용불안의 현주소를 전했다.
하인주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매장 철수와 면세점 축소가 이어지면서 인위적 인사이동이 해고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여성노동자의 생활이 붕괴되고 있다”고 말했다.
마트노조 강우철 위원장은 “대형마트의 인력감축과 단기계약직 확산으로 고용 질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투자자본 논리에 밀려 점포가 사라지고 홈플러스는 결국 기업회생절차로 내몰렸다. 국가가 나서 산업과 일자리를 동시에 보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대영 마트산업노동조합 온라인배송지부 사무국장은 특수고용노동자의 생존권 문제를 짚었다. 그는 “배송노동자는 법적 보호도 없이 차량 감차와 해고를 통보받는다”며 “노동자성이 인정되고 유통 대기업이 부담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제도적으로 정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