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대답 들으러 간다”… 노조, 24시간 농성 돌입

2018-08-10     조희주 기자

금속노조가 9일 산업재해 예방 제도 개선을 위한 농성투쟁 장소를 청와대 앞으로 옮기고 24시간 집회와 농성을 시작했다. 노조는 청와대 앞에서 아침, 점심, 저녁 선전전과 결의대회, 야간 문화제 등을 벌이며 ‘죽지 않고 일할 권리’를 청와대에 직접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 4월 11일부터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위험성 평가와 공정 안전 보건 제도 노동자 참여 보장 ▲중대 재해 발생 시 작업중지 및 해제 지침 준수와 사업주 결탁 고용노동부 관료 징계 ▲작업환경측정·특수건강검진 대상 물질 확대 ▲노동자 생존, 안전대책 없는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퇴진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여왔다.

노조 노동안전보건실은 이날 농성장을 새로 열며 “금속노동자의 요구는 무력화한 산업재해 예방제도를 바로 잡고, 직업병과 사고의 위험 속에서 목숨을 잃는 수많은 노동자를 살리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동부가 의지만 있다면 즉각 제도를 정비하고 법 개정을 통해 시행 할 수 있는 요구조차 수용하지 않고 있다”며 “국민에게 노동자 생명을 보호하겠다고 약속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또한 “문재인 정부가 일터에서 병들고 다치고 죽지 않도록 제도를 만들고 사업주를 감독해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국가의 기본 책무마저 외면한다면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조는 청와대 앞에서 밤새 노동자 생명과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필리버스터를 이어갔다.

한편 민주노총과 공공운수노조, 화학섬유연맹, 화학섬유식품노조, 건설노조, 민주일반연맹,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가 농성 연대성명을 발표했으며 노동자 생명과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 요구를 외면하는 무능한 노동부를 비판하고 금속노조 요구를 즉각 수용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