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가 오히려 갑질" 공공연구노조에 쏠린 비난
2019-02-08 김성훈 기자
"복직투쟁도 서럽고 힘든데 생계비까지 끊으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8일 복직 투쟁 노동자 정상철씨는 이렇게 말하고 고개를 떨구었다. 공공연구노조에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름 아닌 복직 투쟁을 하고 있는 해고 노동자들의 생계비 지원을 중단해서다. 정치권에서도 공공연구노조에 대해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노동당은 성명을 통해 “공공연구노조 해고자 지원 중단 및 삭감 결정을 철회하라”며 “해고자들의 당면 과제는 복직 투쟁이다. 이는 민주노조 운동의 중요한 축이기도 하다. 그런데 노조가 지원을 제한한 것은 민주노조 원칙에 반하는 것이며, 해고자들의 투쟁 동력을 끊는 행위”라고 전했다.
앞서 정상철 조합원은 2001년 2월 김대중 정부의 공공기관 외주화 정책에 맞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외주화 저지 총파업을 벌이다 해고됐다. 강용준 조합원은 2009년 11월 당시 민주노총 서울본부 수석부본부장으로서 연대 활동을 벌이다 해고를 당했다.
노조는 정부와 사측의 탄압으로 해고된 노동자를 재정적으로 돕기 위해 희생자구제기금을 운영 하고 있다. 노조가 생계비 지급을 중단·제한한 이유는 ‘해고자가 조직의 통제에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투쟁을 벌여왔다’는 것이다. 노조 측은 원직복직을 위한 해고자 3명의 천막농성<사진> 시작을 독자적 투쟁으로 봤다.
이에 대해 해고자들은 지난 1월 7일 농성을 잠정 중단하며 노조 측에 희생자 구제 관련 논의를 유보해 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