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0여 명 주얼리 노동자 권리 보호 나서다
서울시 종로1가에서 5가 사이에 있는 2,820여 개 보석 관련 업체에 6500여 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다. 이 중 600여개 업체에서 한국 귀금속의 25%를 생산한다. 열악한 노동환경과 낮은 임금으로 신규 인력 정착률은 3%도 안 된다.
종로에서 보석세공 일을 하는 노동자들은 4대 보험 가입은커녕 근로계약서조차 없이 일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연차휴가를 공휴일로 대체하고 ‘포괄임금’ 명목으로 연장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며, 수년간 일해도 퇴직금조차 주지 않는 경우도 많다.
노조 서울지부와 주얼리 노동자권리 찾기사업단(준)이 서울 종로에서 보석세공 일을 하는 노동자의 노동권을 지키기 위해 신고·상담센터를 운영하는 등 본격 투쟁에 나섰다.
노조 서울지부와 권리 찾기사업단은 4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주얼리 노동자 권리 찾기 신고 상담센터 운영과 노동권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부와 권리 찾기 사업단은 신고 상담센터를 통해 사업주들의 법 위반행위 특히, 추석을 앞두고 임금체불과 퇴직금 미지급문제 등에 집중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서울노동청은 고소·고발·진정에 대해 신고자 신원보호, 특별·수시근로감독 실시, 엄중한 수사와 처벌 등의 노력을 다하라”라고 촉구했다.
최은철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서울시가 밝힌 도심제조업에 투자할 수천억 원 투자금과 지원이 노동조건조차 개선하지 못한다면 결국 혈세를 낭비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올해 초 서울시는 주얼리 산업을 수제화와 봉제, 인쇄업 등과 함께 ‘미래혁신성장 프로젝트’로 선정하고 2022년까지 4,355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박경선 노조 서울지부장은 “옛날 연금술사들이 금속을 황금으로 바꿀 때 사용하던 비법은 지금 보석세공노동자가 사용하는 청산가리와 황산 등 화공약품들이다. 세공노동자들은 청산가리 같은 독극물을 아무런 보호장치도 없이 다루고 있다”라고 개탄했다.
또한 “보석세공 노동자들에게 근로기준법이 필요하다. 5인 미만 사업장에 당장 근로기준법을 전면 적용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