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라임 사태 피해자가 속출하자, 은행귄이 슬그머니 사건에서 발은 빼기 시작했다. 은행들은 대리 판매만 했을 뿐 사기 의도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실제 피해 사례들을 살펴보면 거래는 은행 직원의 거짓말로 시작됐다. 직원은 위험상품임을 알면서도 안전한 상품이라며 고객을 속였다. 은행들은 거짓말 친 직원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피해자 보상보단 은행 명예에 초점을 두고 어떻게든 빠져나갈 궁리를 하고 있다. 오히려 은행들은 판매 직원을 실적 향상 이유로 승진시키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라임 사모펀드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우리은행과 신한금융투자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 시작했다. 환매 중단 사태 이후 처음으로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다만 라임에 대한 실사 결과도 아직 나오지 않아 검사 시작은 장기화 할 전망이다. 섣불리 중간발표를 하기에는 무리라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라임 펀드 판매 은행에도 책임이 있다 보고 불완전판매 조사를 경고했다. 검사는 내달 중 이뤄질 예정이다.

이 기회를 틈타 은행은 변명하기 바쁘다. 직원에 대한 책임보단 라임에 먼저 책임을 묻고 있다. 앞서 투자자들은 은행 직원의 거짓말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피해사례를 말했다. 그런데도 은행은 상품을 판매하기 전부터 라임에 문제 있던 것이기 때문에 무죄라는 입장을 펼치고 있다. 중간에서 판매만 했다는 것이 업계 전언이다.

한편 라임 사모펀드 전체 판매액은 5조 8672억원이다. 이 중 은행 판매 분은 2조억원이다. 은행 별 판매 잔액은 우리은행(1조 648억원)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4214억원) △KEB하나은행(1938억원) △부산은행(955억원) △NH농협은행(597억원) △경남은행(535억원) △기업은행(72억원) △산업은행(61억원)이 따랐다.

라임이 투자자들에게 당장 돌려주지 못하겠다고 선언한 잔액은 전체판매액(5조8672억원) 중 1조5600억원이다. 개인이 받지 못하는 돈은 9170억원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