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의 상징에서, 검찰·언론의 타깃으로… 사면 논란 속 다시 보는 윤미향 사건의 팩트

사진=뉴스클레임 DB
사진=뉴스클레임 DB

윤미향 전 국회의원은 위안부 피해자 지원 활동가에서 정치인의 길을 걸으며, 누구보다 헌신적이고 긍정적으로 살아온 인물이다. 하지만 지난 4년여 동안 검찰‧언론‧정치권의 집중 포격을 받으며 희대의 범죄자로 낙인찍혔다. 실제로 검찰은 총 8건의 혐의로 윤 의원을 기소했지만, 7건은 무죄가 됐고 최종적으로 인정된 횡령 금액은 1718만 원이었다. 이마저도 10년간 시민단체 운영 과정에서 영수증 증빙이 누락된 부분이나, 정의연 계좌에서 회계상 미비로 취급된 금액에 불과했다.

논란의 핵심이 된 기부금품법 위반 혐의 역시 검찰이 김복동 할머니 장례 조의금 일부를 장학금으로 기부한 행위를 문제삼으며, 횡령액을 7958만 원으로 '뻥튀기'해 부풀린 측면이 크다. 그럼에도, 윤미향 본인이 정의연에 직접 기부한 금액은 1억 원을 넘었고, 사적으로 이익을 챙긴 정황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대법원도 2심 판단을 그대로 인정,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확정했다. 하지만 그의 국회의원 임기는 이미 종료된 후였고, 유죄 확정까지 4년을 넘겨 ‘지연된 정의’ 논란까지 불러왔다.

윤미향 의원은 국회에서 외교통일위원회 배정을 받지 못해, 위안부 운동을 상임위 활동과 별개로 이어가야 했다. 일본 극우와 국내 언론, 여론의 몰이로 무차별한 인격적 모욕까지 받으며, 국회의원이 된 후에는 오히려 더 큰 벽에 부딪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림일 행사, 국제심포지움, 소녀상 전시회 등 위안부 역사 알리기에 힘을 쏟았다.

윤 의원은 인터뷰에서 극심한 정신적 고통과 자책, 희생의식을 숨기지 않으며 “내가 죽으면 운동이 살아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정도로 힘들었다고 털어놓았다. 최후까지 그를 버티게 한 건 김복동 할머니의 “내 힘 닿는 데까지, 죽을 때까지 해야지”라는 말이었다. 결국 그는 “내가 살아야 운동이 진다”는 피해자들의 응원에 힘입어 지금까지 버텨왔다.

한국 사회가 그에게 씌운 프레임은 지나치게 가혹했다. 그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한 삶은 검찰과 언론의 정치적 몰이로 오염된 것이 아니다. 이제라도 윤미향의 억울함과 희생의 진실이 온전히 평가받기를, 그의 사연이 사법개혁·검찰개혁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로 남길 바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