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철소 노동자 사망사고는 이제 흔한 일이다. 노동자가 죽는 일이 흔해 빠진 거라면 해당 현장은 분명 문제의 사업장이다. 당연히 관리감독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노동자 사망의 되물림이다.
민주노총 경북본부는 27일 노동부 포항지청에서 포스코 기업살인 방조, 관리감독 포기 노동부 규탄이라는 취지의 기자회견을 연다.
경북본부에 따르면 포스코의 생산, 이윤 중심경영은 2018년 이후 23명의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았다. 올해에만 벌써 포항제철소에서 2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노동부는 작년부터 사망사고를 막기위해 정기감독, 특별감독을 진행했지만 오히려 감독기간에도 2명의 노동자가 더 목숨을 잃었다.
감독 소홀이 노동자 사망을 가져왔다고 이들은 말한다.
사망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노동자들이 참여한 감독 요구가 있었다.
사망사고 피해자이자 노동 안전의 직접당사자인 노동자의 실질적인 참여가 없는 감독으로는 노동자의 죽음을 막을 수 없어서다.
경북본부는 "감독기관인 노동부는 피감기관이자 기업살인의 가해자인 포스코의 허락을 받는 수준으로 형식적인 노동자 참여만을 허용해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금속노조 포항지부에 따르면 지난 3월 10일 대구청장과의 면담에서 포스코의 무너진 안전보건시스템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금속노조와 포스코, 노동부가 함께 하는 노사정협의체를 제안했고. 대구청장은 필요성을 적극 공감했다. 면담 이틀 뒤인 3월 12일 대구청 주관의 포항제철소 안전관리협의체 본회의가 진행, 같은달 26일에는 실무회의가 진행됐다. 실무회의에는 금속노조 포항지부가 참석대상으로 포함됐고 실제로 참석해 실무회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5월 7일 실무회의는 대구청이 아닌 포스코에서 참석대상을 결정했고, 회의 장소와 일시도 일방으로 결정됐다.
경북본부는 "포스코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는 대부분 동일한 사고원인을 가진 사고로 노동부의 관리감독이 제대로만 이뤄졌다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였다"며 "노동자의 죽음을 중단시켜야 할 노동부의 무능력, 무책임을 규탄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