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인 1표제’ 개정안에 내홍… 정청래 “더는 미룰 수 없어"
정청래 강행 드라이브에 비명계·중도계 공개 반발 잇따라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주도하는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위한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 추진을 두고 당내에서 절차적 정당성, 전국정당 기반 유지 등을 이유로 찬반 논쟁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주도하는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위한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 추진을 두고 당내에서 절차적 정당성, 전국정당 기반 유지 등을 이유로 찬반 논쟁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뉴스클레임]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도하는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최고위 의결로 속도를 낸 정 대표의 개혁 의지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서는 ‘전국정당’, ‘숙의 과정’ ‘균형’의 필요성을 내세우며 공개 반발이 이어졌다. 지도부 재신임 이슈까지 맞물리며 논쟁은 확대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19일과 20일, 권리당원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전 당원 투표를 실시했다. 투표에는 16.81%인 27만6589명이 참여해 86.81%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 1로 맞추는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강득구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주권 강화는 옳은 방향”이라면서도 “대의원제엔 단순한 기득권 구조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지역 균형, 전국정당의 기반 유지를 위해 오랜 시간 쌓아온 전략적 보완장치가 담겨 있다”며 “1인 1표제 도입을 명분으로 이 보완장치의 취지를 폐기한다면, 당의 역사와 정체성을 허무는 졸속 개혁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원주권과 전국정당을 동시에 실현하는 ‘1인 1표+알파’의 균형 있는 보정안 마련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정 대표의 개정 강행에 대한 문제 제기는 이언주 최고위원으로 이어졌다. 이 최고위원은 “정해졌으니 따라오라는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숙의 부족과 급박한 의사결정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한 “이번 사안의 핵심은 원칙의 찬반이 아니라,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그리고 전략적 과제에 있다”면서 “충분한 과정을 거쳐 다양한 의견이 수렴돼야 함을 반복 강조한다”고 밝혔다. 

친명계 내부에서도 ‘1인 1표제’ 개정안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윤종군 의원은 “지역위원장 영향력 때문에 제도 개선 필요성에는 동의한다”면서도 “전국 모든 권리당원에게 일률적으로 1인 1표를 적용하는 데엔 이견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영남 등 당세가 약한 지역의 당원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에는 박상혁 원내수석부대표가 “노무현, 문재인, 이재명 모두 영남 출신”이라며 전국적 논의 끝에 나온 결과임을 강조했다. 

더민주전국혁신회의 또한 성명을 내고 “취지는 인정하지만 의견수렴 방식, 절차적 정당성, 타이밍 등에 당원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고 공개 비판했다. 일각에선 일부 당원이 ‘당헌·당규 개정안 의결 무효 가처분’ 소송을 위한 신청인 모집에 나서는 등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1인 1표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며 강한 추진 의지를 재차 밝혔다. 정 대표는 “1인 1표제는 3년 넘게 논의된 사안이며, 원외위원장들도 어느 정도 이해한 부분”이라며 “국민주권 시대에 맞게 당원주권정당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날 당무위원회를 열고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어 오는 28일 중앙위원회 의결로 최종 확정 절차를 밟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