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기자회견

4일 오후, 서울지하철 1호선이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시위로 물들여졌다.

서울·경기·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이날 오후 2시쯤부터 지하철 1호선과 4호선 일부 역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시위를 개최했다. 지난 2001년 1월22일 오이도역에서 리프트를 이용하던 장애인 노부부가 추락한 뒤 리프트 대신 엘리베이터를 설치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서울시 등이 비용 문제를 들며 설치를 계속 미루자 이에 항의하기 위해 집회를 연 것.

서울·경기·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지하철에서 서울시청 앞으로 자리를 옮겨 ‘이동권 보장’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날 오후 4시 기자회견을 열고 취임 두 달을 앞둔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이동권 보장과 관련한 면담을 촉구했다.

서울·경기·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서울시는 2015년 발표한 ‘장애인 이동권 선언’에 따라 2025년까지 시내 저상버스 100% 도입, 2022년까지 서울시 지하철 1역사 1동선 승강기 100% 설치 등을 약속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21년 설치 계획에 따르면 승가기 1동선 미설치 22개 역사 중 올해 공사를 추진할 13개 역사에 대해 200억 규모의 예산이 따라야 하나, 2021년 서울시 본예산에는 포함조차 되지 않았다는 게 서울·경기·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설명이다.

서울·경기·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022년까지 지하철1역사 1동선 엘리베이터 설치 ▲2025년까지 시내버스 저상버스 100% 도입 ▲2022년까지 특별교통수단 782대 도입약속 이행 ▲특별교통수단 수도권 전역 운행 ▲마을버스 저상버스 100% 도입 계획 발표 △서울시 장애인단체버스 10대 도입 등을 요구하며 “서울시는 기본적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미 경기도 김포시는 특별 교통수단 운행 지역을 수도권 전역을 운행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도 함께 특별교통수단 수도권 전역 운행 보장을 공동으로 진행해야 한다. 특히 서울시에게 먼저 특별교통수단 수도권 전역 운행을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4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4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