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 지하철 사고 빈번…서울교통공사 "민원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지하철에서 장애인들의 사고가 빈번하다. 사진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얼마전 장애인들의 지하철 사고에 대한 기자회견 모습이다. 사진=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에서 장애인들의 사고가 빈번하다. 사진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얼마전 장애인들의 지하철 사고에 대한 기자회견 모습이다. 사진=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을 안고 태어난 혹은 지체 장애인들의 인권은 있을까? 비장애인들이 만들어 놓은 굴레는 장애인들에게 벽이나 다름 없다. 서민의 발 지하철만 해도 그렇다. 장애인들에게는 시민의 발이라기 보다는 늘 '사고'가 도사리는 곳이다. 그만큼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는 안전성에서 치명적이다.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라고는 조금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장애인들이 왜 지하철을 타냐는 핀잔과 눈치만 있을 뿐이다. 그나마 지금은 장애인들의 인권이 어느 정도는 지켜지질 수 있도록 노력해주는 비장애인들이 많다. 여전히 앞길이 구만리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 따르면 2018년 11월 4일, 서울 방배역에서 스크린도어 공사 중 미처 이를 인지하지 못한 시각장애인이 선로로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생명에 지장은 없었지만 허리를 다치는 중상을 입었다.

장애인들의 배려 없는 지하철에서 장애인들을 매일 같이 사고를 당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다.

방배역은 최근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를 하고 있는 중이다. 사건 당시 현장에는 안전요원도 배치돼 있었지만 단 한명 뿐이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서울교통공사에 ▲승강장 간격의 위험성 문제, ▲리프트이용의 위험성 문제 등으로 안전인력 지원 요구 해왔다. 하지만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아 결국 장애인만 피해를 입게 된 것이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위험한 상황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 잠시의 방심도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서울교통공사가 해야 할 일"이라며 "신길역사고를 포함한 그동안의 지하철 안전사고도 서울교통공사가 방심한 사이, 빈번히 들어오는 민원들을 가볍게 여겼기 때문에 생긴 사고인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지하철에서 장애인들의 사고가 빈번하다. 사진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얼마전 장애인들의 지하철 사고에 대한 기자회견 모습이다. 사진=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에서 장애인들의 사고가 빈번하다. 사진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얼마전 장애인들의 지하철 사고에 대한 기자회견 모습이다. 사진=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