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거세지고 있다. 총력 투쟁의 움직임도 보인다. 故김용균씨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촉발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대한 목소리는 연일 서울 광화문 광장을 달구고 있다. 이쯤 되면 이제 정확한 진상규명을 위해 정부가 나설 만도 한데, 정부는 그 어떤 움직임도 없다. 원청인 서부발전 공기관을 관리하는 게 정부이지만, 그 어떤 책임자 처벌도 없다. 전무하다. 노동자들이 억울하게 죽은 김 씨의 넋이라도 달래고자 광화문으로 쏟아져 나오는 이유일 게다.
민주노총은 19일 광화문광장에서 '태안화력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투쟁승리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사실 민주노총은 정치적 소용돌이에 휘말려 정작 노동자를 위한 본연의 기능을 못한다는 따가운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아무리 명분이 좋은 활동도 모양이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시위 문화를 달갑지 않게 지켜보는 시민들도 이 때문인데, 이는 민주노총이 앞으로 노동자를 위한 색깔을 어떻게 낼지에 대한 물음도 포함돼 있다. 사회적 합의에 따른 정당한 집회시위만이 인정받는 세상이다. 정치적 노름에 노동자를 이용해선 안 된다. 그런 의미에서 민주노총의 김용균씨 투쟁승리 전국노동자대회는 늦은 감이 없잖아 있다. 외주화 금지와 차별철폐를 선두에서 외쳐도 외쳤어야할 가장 큰 노동자들의 단체는 김용균씨의 안타까운 죽음을 외면했다. 달리 말하면 적극적이지 않았다. 가장 적극적인 곳들은 금속노조, 발전노조들이었다. 물론 민주노총 산하 노조지회들이지만, 지회의 산발적 투쟁은 그 어떤 목소리도 담아내지 못했다. 언론의 무관심도 있었다. 그렇지 않고서야 태안발전 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이 아직 오리무중일 이유가 없질 않은가. 그나마 다행인 것은 민주노총도 다시 힘을 보탰다는 것이다.
19일 오후 2시 광화문 광장에 1만여명의 노동자들이 고 김용균씨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물론 비정규직 철폐와 위험의 외주화 금지 등의 내용도 담았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문재인정부가 당장 공공부분 비정규직부터 정규직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용균씨 사망사건은 엄밀히 따지면 정부의 외주화에 따른 것이다. 서부발전은 공공기관이다. 정부의 예산으로 운영된다. 태안발전은 서부발전의 하청이었다. 이상윤 노동건강연대 대표가 마이크를 부여잡고 "이렇게 억울한 일이 또 있겠냐"며 "정부가 김용균씨를 죽인 것"이라고 성토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집회에는 발전노조뿐만 아니라 민주노총 산하 각 분야의 지회관계자들이 각자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해 발언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