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균씨 추모제…광화문광장 가득메워
"원청은 하청을 금지하고 정규화하라"
"기관협조? 문재인대통령의 빈말에 속아"

2019년 새해가 열흘이 채 남지도 않았지만, 노동자들의 새해는 암울하기만 하다.
서부발전 하청 노동자 故김용균씨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새해를 맞이해야할 세밑, 노동자들은 한 맺힌 울분을 토해내고 있다.
울분은 분노로 들끓고 있다.
22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김용균씨의 추모제에는 대학생과 시민들이 대거 참여했다. 그들은 추모제에서 비정규직이 없는 세상, 차별없는 세상을 말했다. 김용균씨의 어머니는 "비록 아들은 안타깝고 억울하게 이 세상을 떠났지만, 똑같은 일이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며 "더 이상의 슬픔은 없어야 한다"고 흐느꼈다.
공감했다. 추모제에 참석한 이들은 김씨 어머니의 말에 "어떻게 문재인 정부에서 이런 일들이 계속 일어날 수 있는지, 그렇다면 왜 시정하지 못하냐"며 "박근혜 정부 때와 다를 게 없다"고 비통해했다.
지난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김용균씨 사망사고에 대해 "자식을 가슴에 묻어야 하는 아픔으로 망연자실하고 계실 부모님께 가장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되, 유족 측이 조사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말은 빈말에 불과했다.

김용균씨의 진상규명을 맡아 진행하는 해당기관인 고용노동부 대전지청의 만행은 정부가 철저한 진상조사와 문제 해결의 의지가 있기는 한 것인지 의심하게 만든다.
전국금속노동조합에 따르면 19일 故김용균 노동자의 유족과 시민대책위는 고용노동부 대전지청에서 지청장 면담을 진행했다. 이들은 사고가 발생한 9, 10호기 컨베이어 외에 1~8호기도 전면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점검과 근로감독을 실시할 것을 요구했으나 지청장은 “결정권은 보령지청에 있다”는 무책임한 발언으로 책임을 회피했다. 유족과 시민대책위가 대전지청과 보령지청과의 3자 대화를 통해 책임지고 문제를 해결하자 제안했으나 대전지청장은 자리를 피했고 보령지청장은 끝내 대화 자리에 나타나지 않았다.

대화 요청을 거부한 대전지청은 청사 출입구 셔터를 내리고 유족과 시민대책위 성원들을 청사 내부에 감금하는 충격적인 만행을 저질렀다. 대화를 위해 기다린 유족과 시민대책위에게 무단 점거라며 퇴거 명령을 자행한 대전지청은 청사 밖에 있는 지역 노동자들이 최소한 유족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음식물을 반입하게 해달라고 요구했음에도 끝내 셔터 문을 열지 않았고 유족과 대책위는 밤새 차가운 청사 안에 갇혀있어야 했다.
20일 아침 출근시간이 지난 시간에도 대전지청은 청사 문을 잠근 상태고 여전히 대화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 아침이 돼서야 셔터 사이로 청사 내부에 감금된 유족과 시민대책위에게 컵라면을 전달했다. 밥 먹을 시간도 없이 지옥 같은 현장에서 일해야 했던 故김용균 노동자의 사물함 속에 있던 컵라면을 보며 절규했던 유족들이 참담한 심정으로 받아들었을 컵라면.
노조는 "이것이 문재인 정권이 약속한 철저한 원인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노력이냐"며 "사고가 발생한 컨베이어보다 더 위험요소가 많은 1~8호기 컨베이어에 대한 작업중지 요구도 ‘설비 방식이 다르다’는 이해할 수 없는 핑계를 대며 거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김용균씨 사망에 대한 말이 빈말인 이유다.
노조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던 문재인 대통령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의 약속은 모두 거짓이었다. 카메라 세례를 받으며 했던 약속은 커지는 시민의 분노를 잠재우려는 꼼수와 기만에 불과했다"며 "자식을, 가족을 잃은 유족에게 인간으로서 해서는 안 되는 만행을 서슴지 않는 정부당국은 정의를 말할 자격이 없다"고 분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