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민노총 파업 30개 사업체 3200명 참가…주력 사업체는 다 빠져

민주노총은 6일 총파업을 선언했다. 오후4시 국회 앞에서 ‘노동법개악저지 및 ILO 핵심협약 비준과 노동기본권쟁취, 제주영리병원저지, 산업정책 일방강행 저지’를 위한 수도권대회를 열었다. 사진=김기천 기자
민주노총은 6일 총파업을 선언했다. 오후4시 국회 앞에서 ‘노동법개악저지 및 ILO 핵심협약 비준과 노동기본권쟁취, 제주영리병원저지, 산업정책 일방강행 저지’를 위한 수도권대회를 열었다. 사진=김기천 기자

재계와 정치권의 비난을 감수하고 민주노총이 6일 총 파업을 단행했다. 정치권은 명분 없는 총파업이라고 비난했고, 재계는 경제사정을 보면 지금 파업을 할 때가 아니라고 주문했다.

반면 서울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진보정당은 5일 오전 광화문 세월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본과 권력이 장악한 언론이 경제난을 탓하며 노동자들의 총파업 투쟁을 비난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노동법 개악을 막으려는 민주노총의 총파업, 총력투쟁을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ILO핵심협약 비준과 탄력근로제 개악, 노동시간산입범위 확대, 제주영리병원 설립 중단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서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자임한 것은 허구”라며 6일부터 진행되는 민주노총의 총파업에 국민들과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지지와 연대를 호소했다.

이처럼 상반된 지지를 받으면 민주노총은 6일 총파업을 선언했다. 오후4시 국회 앞에서 ‘노동법개악저지 및 ILO 핵심협약 비준과 노동기본권쟁취, 제주영리병원저지, 산업정책 일방강행 저지’를 위한 수도권대회를 열었다. 고용부는 이날 파업에 30여 개 사업장 3200여 명이 참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파악했다.

민주노총 김명환 위원장은 파업 출정에 앞서 “정부가 민노총을 겨냥해 최저임금 개편과 탄력근로제 확대 개악에서 더 나아가 이제는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까지 무력화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대회 참가자들은 투쟁선언문을 통해 최저임금법 개악 시도 저지, 재벌독점체제 전면개혁 투쟁 본격화, 대정부 대여당 투쟁, 극우보수 자유한국당 해체 투쟁을 위해 3월말 2차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투쟁에 나설 것을 결의했다.

대회 참가자들은 집회가 끝난 후 “재벌의 청부입법 노동악법 박살내자”고 외치면서 더불어민주당(여의도)과 자유한국당(영등포) 당사로 행진하고 마무리집회로 대회를 정리했다.

한편 정부는 민주노총의 총파업에 대해 강하게 경고하면서 사회적 대화 복귀를 촉구해왔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5일 "고용과 경제가 엄중한 시기에 집단적인 파업을 벌이는 것은 다수 국민의 동의를 얻기 어렵다"며 사회적 대화 동참을 촉구했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한발 더 나가 "합법적인 파업과 집회는 보장하지만 불법행위가 발생할 경우 법적 절차에 따라 조치하라"고 일선 기관장에게 지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