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방사능감시센터 등 시민단체들은 원안위 대진침대 매트리스 제4차 조사 결과 발표 관련 논평을 발표하며 “원안위는 모나자이트 수입 및 유통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방사능 조사결과를 전부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11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대진침대 매트리스 방사능오염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3일 대진침대 라돈검출 언론보도이후 4번째 발표다.

지금까지 원안위가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모나자이트가 사용된 대진침대 매트리스 24종 모두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이하 생방법) 가공제품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모든 제품이 연간 방사선피폭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최고 13배 이상 되는 모델도 있었다.

특히 그동안 원안위는 대진침대가 2010년 이후 생산한 모델 중심으로 조사를 하면서 2010년 이전 모델은 선을 그어왔다. 하지만 대진침대가 생산한 2010년 이전 모델에서도 높은 수치의 방사선이 검출된다는 문제제기가 보도된 이후에야 2010년 이전 생산 모델에 대한 조사를 했다. 이후 이번 발표에서 2010년 이전의 3개 모델도 안전기준을 초과함으로써 대진침대가 2010년 이전에도 매트리스에 모나자이트를 사용해왔다는 것이 확인됐다.

시민방사능 감시센터는 “원안위는 2012년 생방법 시행 이전의 모나자이트 수급현황에 대해서는 수입 및 유통 현황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모자나이트 수입 및 유통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방사능 조사결과를 전부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진침대와 같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도 대진침대가 언제부터 모나자이트를 사용했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업체 정보에 의존해서 2010년 이후 생산된 매트리스를 중심으로 방사능 실태조사를 해왔다”며 “하지만 특허청이 1990년대부터 음이온제품 특허를 내주고 생방법 시행이전에는 모나자이트의 수입 및 유통 현황 등이 관리되지 않았다는 점을 돌이켜볼 때 현재 원안위의 라돈침대 조사는 임시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이유로 대진침대 매트리스 조사를 통해 모나자이트 사용 모델 모두의 방사선량이 안전기준을 초과했다. 그러나 원안위는 대진침대보다 더 많은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가공제품 생산판매업체를 공개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주장만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원안위가 수출용이라고 제기한 카페트의 경우 매트리스와 똑같은 영향을 줄 텐데 이 회사가 생산한 제품을 전량 수출했는지도 의심스럽다”며 “수출용으로 제작했지만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시민들은 아무런 정보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방사선에 피폭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진침대 라돈사태의 핵심은 매트리스 수거가 아니다. 수거는 국민의 안전을 지키지 못한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일이고, 원안위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은 이러한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라며 “이제라도 원안위가 국민안전을 최우선에 둔 생활방사선 안전정책의 원칙을 세우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