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수소충전소 구축 동구민 설명회 진행
“부산의 무리한 돈벌이”… 수소충전소 둘러싼 공방

부산 동구에 구축 예정인 수소충전소를 둘러싼 잡음이 일고 있다. 원도심 등 인근 지역 수소차 충전 수요 수용이 가능해져 수소 생태계 기반 구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부산시와 달리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위험과 불안감을 안고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4일 주민 설명회가 열렸다. 최형욱 부산동구청장에 따르면 동구청은 북항재개발2단계 지역내 수소충전소 구축 건설허가를 해주지 않았다. 현대자동차 등이 하이넷이라는 수소충전소 사업을 한다. 수소충전소가 많지않아 충전소를 구축하는데는 주민들의 동의도 필요하다. 설명회가 열린 이유다. 하지만 주민설명회는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14일 부산 동구 범일5동 주민센터에서 개최된 수소충전소 설명회는 주민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로 가득 찼다. 이날 수소에너지의 필요성, 수소충전소 안전 관리 현황, 수소충전소 설치 운영 계획 등을 전달하는 자리였으나 주민들은 하나같이 납득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펼쳤다.
주민들 대다수는 안전성 확보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소충전소를 설치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주민들은 “살고 있는 아파트 옆에 수소충전소를 짓는 게 싫다. 집값 내려가는 건 둘째 치고 불안해서 살지 못한다”며 “폭발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사고가 터진 후에야 방안과 대책을 내놓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부산 동구 두산위브더제니스하버시티에 거주하는 주민 A씨는 “수소는 위험성이 많고, 정부도 이를 알고 있다. 위험하면 하지 않는 게 맞지만 막기는커녕 오히려 밀고 나가고 있다. 미래의 먹거리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민들의 안전도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주민들은 강원도 수소탱크 폭발 사고를 언급하며 설치 반대 의견을 내세웠다. 지난해 5월 강릉시 대전동 강릉과학산업단지 내 강원테크노파크 강릉벤처 1공장 옆 수소저장 탱크 폭발사고로 2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주민들은 “수소탱크 폭발 사고는 매우 위험하다. 수소는 LNG보다 약 10배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 밀도도 낮아 대기 중에 빠르게 퍼지고, 특별한 압력이 없어도 폭발한다”며 “전문가들은 수소에너지가 안전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수소충전소가 폭발하면 순식간에 불바다가 된다. 그런 위험을 안고 살아갈 주민들이 누가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미래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수소 경제도 그중 하나다.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를 구매하면 3500만원의 보조금이 나오는 것도 일종에 정부의 투자로 보면 된다. 현대차는 현재 수소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데, 충전소가 태부족한 실정이다. 충전소가 많이 없어 수소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들도 많지 않다. 그래서 현대자동차 등이 하이넷이라는 특수목적법인 투자해서 수소충전소 사업을 하게 됐다. 하이넷은 한국가스공사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1대주주와 2대주주로 2022년까지 10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