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호단체, 개식용 금지 촉구 기자회견
축산법 정비 약속, 개식용 종식 대책 마련 등 요구
초복(初伏)이 다가올수록 곳곳에서 개식용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
지난 12일 대구 북구 칠성시장에는 긴장감이 돌았다. 대구동물보호연대 등 단체들과 대구시민 들은 “개식용 철폐”, “개식용 종식”을 외치며 칠원시장 개시장을 규탄했다. 일부 상인들은 “장사를 망치려 하느냐”, “우리의 생계다” 등 고함을 지르며 ‘개식용 반대’ 목소리를 맞받아쳤다.
지난 2018년 청와대는 가축에서 개를 제외하는 축산법 개정과 동물의 임의 도살을 금지하는 동물보호법 개정 관련 국민청원에 대한 공식 답변으로 “가축에서 개를 제외하도록 축산법 관련 규정 정비를 검토하겠다”라고 약속한 바 있다. 당시 국민청원을 통해 40만명 이상이 개식용 금지를 요구했고, 개식용 종식을 위한 트로이카 법안이 20대 국회에 발의됐다. 대법원도 지나 4월 개 전기도살이 동물학대라는 사실을 공표했다.
그러나 정부와 국회는 개를 가축의 범위에서 제외해야 한다면서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변명으로 개식용 종식의 흐름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대구에 이어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까지 나아가 정부와 국회를 향해 비판을 날렸다.

초복인 16일 오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한 동물단체들은 “정부와 국회는 국민 염원인 개식용 금지를 위해 개를 가축에서 제외해야 한다. ‘사회적 합의’라는 방패 뒤에 숨어 민의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동물단체들은 “전국 대표 개시장과 개 도살장이 철거되고 한국의 개식용 산업이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개식용 금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는 이미 끝난 지 오래다”라며 “국내 개농장을 전수 조사하고 국가 차원의 개식용 종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축산법 정비 약속을 지키고, 개식용 산업 과정에서의 불법·범죄 행위에 대한 적발과 시정 조치를 당장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후 누렁이 대학살 추모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들은 오후 마포구 평화의공원 주차장에서 차량 행진을 시작해 홍대입구역, 서강대교, 여의도 등 서울 시내를 돌며 드라이브스루 집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