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여가부·대한적십자사 등 11개 기관 제각각 관리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클레임정치=심은아 기자] 2020년 기준 자원봉사 활동인원은 약 223만명, 자원봉사 관리자는 1510명에 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활동 관리시스템은 정부 각 부처, 센터 등에서 각각 운영되고 있어 자원봉사에 관한 관리·조사·연구 등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 하고 있다.

17일 윤재갑 의원은 국립 자원봉사정보교육원을 설립하는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재 행정안전부가 운영 중인 대표적인 자원봉사 포털 1365에는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봉사 정보만 제공하고 있어, 타 기관의 봉사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각 기관별로 운영 중인 시스템에 개별 접속해야 한다.

또 자원봉사활동 인정기관에 따라 실적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전 등록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타 기관과의 실적연계를 위해서는 별도의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자원봉사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봉사시간 인정방법이 기관마다 각양각색이라는 문제도 있다.

봉사활동을 위한 이동시간·교육·회의시간 등을 봉사시간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어 형평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법안으로 자원봉사 관리시스템을 통합해 자원봉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조사·연구 업무를 수행할 ‘자원봉사정보교육원’ 설립하는 데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자원봉사 지원 체계와 정책은 ‘민간 주도 관 지원’이 돼야 한다며 국립 자원봉사정보 교육원 설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밝히며 “국립 자원봉사정보 교육원 설립은 민간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침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각 기관별로 산재 된 시스템을 통합해 자원봉사활동의 안정적인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