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오세훈 서울시장이 북한 발사체와 관련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 발령 논란과 관련해 "혼선을 빚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다만 "긴급 문자는 현상 실무자의 과잉대응일 수는 있지만 오발령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31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오늘 새벽 북한 우주발사체 관련 서울시 경계경보 문자로 많은 분들에게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경위를 파악해보니 북한이 통상 동해로 발사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남쪽으로 발사한 상황에서 1000만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서울시로서는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 경보를 발령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41분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위급재난문자를 시민들에게 발송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가 7시 3분께 "06:41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 드림"이라는 문자를 보내면서 '위급재난문자 오발령' 논란이 불거졌다.
오 시장은 행안부의 주장대로 오발령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번 긴급문자는 현장 실무자의 과잉 대응일 수 있으나 오발령은 아니었다고 판단한다. 안전에는 타협이 있을 수 없고 과잉이라고 할 정도로 대응하는 게 원칙"이라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를 위해 경고체계와 안내문구를 더욱 다듬고 정부와 협의해 발전시켜나가겠다"고 전했다.
'위급재난문자 관련 오대응한 책임자를 질책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런 위기과 긴급한 상황에서 다소 과잉대응했다고 해서 문책 이야기가 먼저 나온다면 앞으로 실무 공무원들은 상당히 위축시킬 수 있다. 추후 객관적 사정을 파악한 뒤에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답했다.
'대통령실에서 이번 오발령 논란에 대해 책임소재를 따지기로 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오늘 오전 국무총리실에 부시장단을 보내서 정확한 사정을 설명했다"며 "국무총리실에서 당시 필요한 조치가 어떤 것이었느냐에 대해서 냉정하게 판단할 것이고, 서울시는 총리실 판단에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