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 2022년 1분기 21.4조원서 2024년 2분기 67.8조원으로 증가

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 고정이하여신. 사진=정성호 의원실
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 고정이하여신. 사진=정성호 의원실

[뉴스클레임]

최근 금융기관의 부실 대출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권별 고정이하 여신 변동현황' 자료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고정이하여신은 업권에 관계없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기관이 빌려준 자금이 3개월 이상의 연체가 발행해 회수가 어려운 부실대출을 의미한다.

2022년 1/4분기 말 금융권 저체의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총 25.2조원이었지만 올해 2분기말 73.9조원으로 3배(293%) 가까이 늘었다. 

이 중에서 비은행권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2022년 1/4 분기말 21.4조원에서 67.8조원으로 3배(316%)가 넘는 46.4조원이 증가했다.

반면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3.8조원에서 6.1조원으로 2.3조원(62%)만이 증가해 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중은 15.1%에서 8.3%로 줄었다. 

부실이 가장 심각한 업종은 수협, 산림조합, 신협 등이 포함된 상호금융이다. 

상호금융의 부실대출은 2022년 1/4 분기말 12.1조에서 2024년 2분기말 41.1조로 3.4배 늘었다. 2022년 1분기 말에는 전체 부실대출의 중 48%를 차지했지만, 올해 2분기 말에는 55.6%까지 비중이 증가했다. 

다른 비은행 금융기관도 유사한 실정이다. 같은 기간 동안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은 3.6조원에서 11.3조원으로 7.7조원이 증가했다.

카드사 등 여신전문 금융기관은 3.5조원에서 7.8조원으로 4.3조원, 증권사는 1.9조원에서 6.1조원으로 4.2조원, 보험사는 0.3조원에서 1.5조원으로 1.2조원이 늘었다. 

정성호 의원은 "부실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부동산PF 구조조정과 더불어 취약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 대출이 전 금융업권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상호금융만이 아니라 모든 금융기관의 부실대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을 엄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은행은 특히 비은행권의 금융안정성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