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장문의 글이 단톡방에 올라왔다. 200자 원고지로 자그마치 17장 넘는 장문이다. 한강의 노벨문학상을 비판하는 글이다.
한강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비틀어서 노벨문학상을 차지했다는 것이다. 수상은 축하하지만, 왜곡된 역사를 소재로 한 점은 두고두고 국민의 비판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요컨대, ‘좌편향’이라는 얘기였다.
한강이 다음 책을 쓸 기회가 있다면, ‘5.18’과 ‘4.3’의 실체적 진실을 쓰기 바란다고도 했다. “대한민국 역사에 무지한 스웨덴의 한림원이 그런 작품을 선정한 것도 문제”라고 싸잡아서 주장하고 있었다.
그리고, ‘짧은 글’도 올라왔다. “노벨상만 보고 축하했는데, 진실을 거짓으로 덮은 작가”라고 비판하고 있었다. 먼저 올렸던 ‘축하 글’은 지워졌다.
반박도 있었다. “노벨상 받았으면 축하해주면 되지, 무슨 좌파, 우파인가”라는 반박이었다.
그런가 했더니, 최서원씨의 딸 정유라의 글이 보도되고 있다.
정유라는 “역사 왜곡으로 쓴 소설로 받은 상이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난하고 있었다.
“제주 4·3 사건, 5·18 옹호를 소설이라는 이유로, 어쨌든 그동안 노벨상이 없었으니 감사하자는 마음으로 우파 역시 긍정적으로 보는 것 같아 찝찝하다”고 했다. 정유라는 역사에 밝은 듯했다.
작가 김규나도 페이스북에 “노벨문학상 수상 의미, 노벨 가치의 추락, 문학 위선의 증명, 그리고 역사 왜곡의 정당화”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역사에 자랑스럽게 남을 수상은 아니다”며, “꼭 동양권에게 주어야 했다면 중국의 옌렌커가 받았어야 했다”고도 했다.
김 작가도 한림원을 못마땅하게 보고 있었다. “한림원 심사 위원들 모두 정치적이거나, 물질적이거나, 혹은 명단 늘어놓고 선풍기 돌렸을 거다. 아님 여자라서?”라고 했다.
비판하는 글이 어쩌면 적지 않은 듯했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전해지자 이른바 ‘보수우익’을 자처하는 일부 사람들이 5·18을 폄훼하는 인터넷 댓글을 달고 있다”고 지적한 것을 보면 그렇다.
한강의 노벨문학상은 외국에서도 찬사를 받고 있다. 미국의 ‘양대 정론지’인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는 노벨문학상 소식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한강의 작품을 “책이 없어서 못 팔 정도”라는 보도다.
AFP통신의 경우는 ‘한류’ 전체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로 문을 연 ‘한류’가 BTS 등 K팝 스타들의 팬덤으로 힘을 얻고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등으로 도약, 어엿한 세계 문화 속의 ‘메이저’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그런데 우리는 역사 왜곡 비판이다. 노벨문학상마저 고질적인 ‘좌우 싸움’의 ‘꼬투리’가 되고 있다. 경기도의 일부 학교에서 한강의 작품 ‘채식주의자’가 유해도서로 분류되었다는 논란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 3월, 한국행정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은 보수와 진보 간의 이념 갈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4점 만점에 3.3점이나 되었다. 빈곤층과 중·상층 간의 계층 갈등은 2.9점,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노사갈등은 2.8점이었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전국 흐리고 경기남부·강원남부·충청권·남부지방·제주도 중심 비… 낮 최고기온 20~25도
- SPC그룹, 신세계 출신 임병선 대표 내정
- 한화, ‘맑은학교 만들기’ 참가 학교 모집
- 세계 전자폐기물 없는 날… LG유플러스, 가전제품 수거
- 현대자동차, 이동 취약 아동 이동권 향상 나서
- 하나은행, '자연사랑 어린이 미술대회' 시상
- 신한카드, '꼬마피카소 그림 축제' 개최
- LG전자 VS연구소-도로교통연구원, '운전자 요인 사고 예방 연구' 업무협약
- KB금융그룹, 인니 어린이 '건강한 삶' 지원
- 신한금융희망재단, ‘사회복지사-경찰관 연계 사례관리 지원사업’ 우수사례 공모전
- 초등학생이 일냈다… SPC 배스킨라빈스, ‘숭아야, 그릭다…’ 인기
- 삼성전자, 갤럭시 AI로 국가유산 체험
- 우리금융그룹, 저소득층 신혼부부 웨딩홀 무료 대관
- 대웅제약 '엔블로', 에콰도르서 품목허가 획득
- 동원그룹 스타키스트,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만찬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인도채권 펀드’ 순자산 1000억원 돌파
- "하이브, 거버넌스 이슈 장기화… 목표주가 하향"
- 넥슨, ‘프라시아 전기’ 업데이트
- 신한은행-카카오뱅크, '외환·자금시장 경쟁력 강화' 협약 체결
- 미래에셋증권, ‘ISO 27701 인증’ 취득
- CJ제일제당 롯데백화점 쿠팡 外(유통家 이모저모)
- 크라운해태, 국악공연 '창신제' 개최
- 개막 D-3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 준비 완료
- 볼보자동차코리아, '헤이 플로깅, 볼보 로드' 실시
- 경동나비엔, 온정 선물 캠페인
- 양식 수산물 유통관리 강화
- 넥슨컴퍼니, '넥토리얼' 채용설명회 마무리
- 이재명 "내수 경제 심각… 사면초가 상황 직시해야"
- 전교조 경기지부 "성교육 도서 대한 마녀사냥 멈춰야"
- 비은행권 부실대출 2년 만에 3배↑
- '가스 중독' 4명 사상 영풍 석포제련소, 사고 집계 안 해
- '교원 정치기본권 보장 법안 즉각 제정'[교육감 선거 교원 참여 보장 촉구]
- 유한양행, 다문화 가정 위해 도서 기부
- GC녹십자웰빙, 영양 치료 최신 지견 공유
- '교육 실종' 교육감 선거, 교원만 입틀막
- 10·16 재보궐선거 이틀 앞… 국힘 "문제 핵심, 민주당에 있어"
- '류희림' 방통위, 불법도박사이트 차단 방치
- HDC현대산업개발, 경영진 주관 특별 안전 점검
- "해리스·트럼프 대선 후보들, 한국 국민 요청에 답변해야"
- 한신대 교수 "위안부 강제 징용 증거 없어"… 시민사회 "역사왜곡 그만"
- [사설] 국감 출석 피감 공무원들 이래도 되나?
- [경계선에 서서] 외국의 낯선 술집에서의 굴욕
- 라이즈 6인 체제 지키기, 진짜 소비자가 이긴 '좋은 선례'
- [내일 날씨] "우산 챙기세요" 서울·인천·경기북부 등 곳곳 비… 기온 평년보다 높아, 아침 최저 14~21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