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여천NCC 공장서 폭발 사고… 4명 사망·4명 중경상
건설노조 “여전히 위험한 건설현장 실태 보여줘”

국내 최대 나프타 분해업체인 여천NCC 여수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노동계는 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여천NCC 폭발사고와 관련해 책임자 처벌과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이하 건설노조)는 13일 성명을 통해 “화약고라 불리던 여수국가산업단지 여천NCC 3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행했다. 국가는 당장 발벗고 나서서 국가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관리하라”고 요구했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지난 11일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여천NCC 3공장에서 열교환기 정비 과종 중 1톤가량의 열교환기 덮개가 이탈돼 노동자 4명이 숨졌다. 4명은 중경상을 입었다. 현장에 있던 노동자는 8명으로, 열교환기 청소 후 내부 압력을 높여 밀폐 여부를 확인하는 기밀시험 중이었다.
건설노조는 “현장 안전 지침상 시험 가동 시 현장을 확인할 1~2명 노동자 외에 다른 사람들은 안전 구역 밖에 물러서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안전조치가 전혀 이행되지 않았던 것”이라며 “이번 사고는 전형적인 안전불감증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여전히 위험한 건설현장의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끔찍하고 처참한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데에는 ‘땜질식 솜방망이 처벌’이 있다. 사고의 구조적인 원인을 밝히지 않고, 말단 현장 소장이나 노동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기 때문”이라며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는 사고에는 구조적 원인이 있고, 그 책임은 사업주가 져야 한다. 여천NCC 사업주를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설현장 위험 작업 노동자들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건설노조는 “근본적으로 건설현장 위험 작업 노동자들을 직접고용 하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이를 통해 상시적인 위험관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당장은 노동자들에게 유해위험 시설을 알 권리, 산업안전에 참여할 권리, 위험작업을 중지할 권리를 이윤추구에 매몰된 기업이 보장하도록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