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동탄 풀필먼트센터에서 ‘AI 로봇 디팔레타이저’가 박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옮기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 동탄 풀필먼트센터에서 ‘AI 로봇 디팔레타이저’가 박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옮기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뉴스클레임] CJ대한통운이 알고리즘을 활용한 물류시스템의 잇단 특허 등록을 통해 물류산업 첨단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오더피킹 최적화 방법’, ‘이기종 물류 자동화 설비의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디팔레타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등 최첨단 물류기술에 대한 특허를 연이어 등록했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오더피킹 최적화 방법은 다양한 상품을 여러 곳에 보관하는 풀필먼트 서비스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피킹 작업을 지원하는 알고리즘으로 개발됐습니다. 

오더피킹이란 창고에서 고객의 주문 단위 별로 물품을 출하하는 과정으로 피킹 카트 또는 로봇이 최적 동선을 찾아 이동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제고하는 게 기술의 핵심입니다. 물류 빅데이터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서 상품을 픽업하기 위해 방문해야 하는 지점을 줄여 전체 이동거리를 감소시키고, 카트나 로봇 등의 이동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전체 배송 작업 시간도 단축될 수 있습니다. 

상품이 보관된 선반 별 혼잡도도 관리합니다. 특정 장소에 피킹 카트나 로봇이 몰리는 병목현상을 방지해 대기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디팔레타이저 시스템도 AI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물류 현장에서 맹활약 중입니다. 인공지능(AI)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박스의 체적을 인식하고, 한번에 여러 상품을 들어올릴 수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또한 중복 피킹이 가능한 상품끼리는 AI가 그룹화하고, 각 그룹 간 최적 작업순서를 지정하는 등 알고리즘 기술을 적용해 물류 생산성을 높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