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회장 허영인) 파리바게뜨 유한킴벌리(대표이사 사장 이제훈) 오뚜기(회장 함영준) 골든블루 인터내셔널(대표이사 박소영) 다이닝브랜즈그룹(대표 송호섭) 롯데GRS(대표이사 차우철)

SPC(회장 허영인) 파리바게뜨 연말을 맞아 구세군과 함께 모금 활동을 진행하며, 20년째 이웃 사랑 실천을 이어간다. SPC 파리바게뜨 제공
SPC(회장 허영인) 파리바게뜨 연말을 맞아 구세군과 함께 모금 활동을 진행하며, 20년째 이웃 사랑 실천을 이어간다. SPC 파리바게뜨 제공

[뉴스클레임]

20년 연속 구세군 1호 성금 전달=SPC(회장 허영인) 파리바게뜨 연말을 맞아 구세군과 함께 모금 활동을 진행하며, 20년째 이웃 사랑 실천을 이어간다. 올해도 파리바게뜨는 구세군에 1호 성금을 전달했으며, 2026년 2월까지 전국 3400여 파리바게뜨 매장에서 모금을 진행한다. 계산대 앞에 미니 자선냄비와 후원 사이트로 연결되는 QR코드를 비치해 고객들이 계산 후 남은 잔돈을 넣거나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기부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모인 성금은 구세군과 협약된 국내 사회복지 시설의 개선 활동 사업에 사용된다.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지수 생활용품부문 1위=유한킴벌리(대표이사 사장 이제훈)가 26일 열린 ‘2025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대회’에서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지수(KSI, Korean Sustainability Index) 생활용품부문 1위와 함께 제조부문 지속가능성보고서상(KRCA, Korean Readers’ Choice Awards)를 수상했다. 50개 산업군 213개 기업(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속가능성지수 평가 결과, 유한킴벌리는 생활용품산업부문 1위를 차지했다. KSI 1위는 올해로 15회째다. 동시에 2024 유한킴벌리 지속가능성보고서 ‘사람이 희망이다’는 국내 발간된 507개의 지속가능성보고서 중 제조부문 우수보고서로 선정되며, 14회째 수상을 이어가게 됐다.

신세계 센텀 스파랜드에 ‘오뚜기 라면랜드’ 오픈=오뚜기(회장 함영준)가 (주)조선호텔앤리조트가 운영하는 부산의 대표 찜질스파인 ‘센텀 스파랜드’와 협업해 이색 체험 공간인 ‘오뚜기 라면랜드’를 선보인다. 이번 협업은 K-라면 문화를 스파랜드의 인기 체험 콘텐츠와 접목해, 내·외국인 방문객 모두에게 새로운 K-푸드&K-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서는 대표 라면 ‘진라면’을 비롯해 20여 종의 다양한 라면을 만나볼 수 있다. 방문객들은 스파랜드에서 휴식을 즐긴 뒤 다양한 오뚜기 라면을 직접 맛보며 K-라면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사업 파트너십 강화=골든블루 인터내셔널(대표이사 박소영)이 스페인 종합주류기업인 곤잘레스 비야스(González Byass)와 사업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공식 비즈니스 미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양사는 한국 위스키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노마드’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위스키 소비 트렌드에 주목하고 이들을 겨냥한 영업,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또한 양사는 판매채널 확대 및 시장 점유율 제고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중기부장관 표창 수상=다이닝브랜즈그룹(대표 송호섭)의 치킨 브랜드 bhc가 지난 25일 ‘2025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bhc는 가맹점을 핵심 이해관계자이자 동반성장의 파트너로 인식하고, 실질적인 가맹점 손익 개선을 위한 노력을 펼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대표적으로, AI 확산과 사료값 급등으로 인한 계육 매입가 인상분을 본사가 직접 감내하며 원활한 공급을 이어왔다. 이로 인해 연말까지 신선육, 북채, 날개 등에서 누적 100억 원 규모의 인상분을 본사가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롯데GRS(대표이사 차우철)가 지난 25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동반성장위원회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주관하는 ‘2025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롯데GRS는 지방자치단체 및 동반위와 협력하여 ▲지역상생 모델 구축 ▲상생기금 출연 ▲지역사회 환원 등을 통해 동반성장 문화 확산과 지역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 공적으로 수상 받았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