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유럽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이라며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출장지에서 현재 경제 위기가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걸 인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사태, 주가 폭락 등으로 격변기를 맞아 국내 경제에도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기업들의 투자와 기업 총수들의 리더십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요 총수들이 선봉장에 서서 활발하게 뛰어다닐 수 있도록 사법리스크가 해소돼야 한다는 진단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24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회계 부정·부당합병’ 관련 공판에 출석했다. 이 부회장은 매주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 부당합병 의혹 관련 재판이 진행되면서 일주일에 1~2차례 법원에 출석해 재판을 받고 있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징역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됐다가 지난해 8월 가석방됐다. 가석방 상태로는 특경가법상 5년 취업 제한에 걸려 원칙적으로 경영 현장에 복귀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이 부회장은 현재 삼성전자에서 무보수·미등기·비상근으로 경영 자문을 하고 있다.
2019년 10월 이 부회장이 등기이사에서 물러난 이후 삼성전자는 2년 넘게 총수부재의 상황에 처해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 국가 경제를 위해서라도 이 부회장의 사법 리스크 족쇄를 풀어줘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 부회장 사면에 대한 국민 여론도 우호적이다. 앞서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이 부회장의 특별사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회장의 사면에 ‘찬성한다’가 68.8%로 나타났다. ‘반대’는 23.5%로 찬성 의견이 현저히 높았다.
경제단체는 물론 정치계 등에서도 사면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를 방문한 박성중 의원(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교육기술분과 간사)는 삼성 반도체 공장 방문을 시작으로 이 부회장의 특별사면을 강력하게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원 구성원이 되는대로 과방위 전체 위원들의 의견을 조율해 기업인 중 이 부회장 같은 제한을 겪고 있는 기업인들의 사면을 적극적으로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