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낙농가, 충남도청 앞 기자회견 및 궐기대회

11일 오전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낙농말살 정부·유업체 규탄 기자회견’. 사진=한국낙농육우협회
11일 오전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낙농말살 정부·유업체 규탄 기자회견’. 사진=한국낙농육우협회

[뉴스클레임] 원유 가격 결정을 위한 ‘차등가격제’ 도입을 두고 정부와 낙농가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낙농가의 반발에도 원유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도입하는 등 낙농제도 개편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낙농가는 낙농가 의견이 반영된 새로운 낙농대책 수립과 원유가격 인상, 사료값 폭등 특단대책을 수립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충남도지회(이하 충남도지회)는 11일 오전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농말살 정부대책 폐기, 원유가격 인상 단행 등을 촉구했다.

충남도지회는 “충남지역 낙농가들은 사료가격 폭등과 계속되는 감산정책으로 농가부채와 폐업 증가 등 농가피해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엉뚱하게 낙농문제를 물가와 결부시킨 낙농대책 정부안은 낙농생산기반 붕괴를 촉진시키게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계훈 도지회장은 “사료값이 2020년 대비 30% 이상 폭등하고 있다. 규모 확대, 환경규제에 따른 시설 투자로 인해 지난해 농가 평균 부채는 지난 3년간 39.5% 증가한 5억1000만원 수준”이라며 “계속된 낙농진흥회와 유업체의 쿼터삭감정책으로 인해 지난해 12월 기준 폐업목장이 전년 대비 67% 증가해 지난해 하절기부터 우유 부족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무분별한 FTA체결로 인한 낙농가 피해보전을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은 뒷전인 채 농가소득이 증대된다는 거짓명분으로 유업체 손실보전을 위한 연동제 폐지 및 쿼터삭감을 목적으로 용도별차등가격제를 도입하려 하고 있다”며 지적했다.

충남도지회는 이날 총궐기대회를 시작으로 낙농가 의견이 반영된 새로운 낙농 대책 수립, 원유가격 인상, 사료값 폭등 특단 대책을 수립할 때까지 18일과 25일 집회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향후 협회집행부 투쟁 지침에 따라 전국 낙농가들과 함께 ‘납유거부 불사’ 등 투쟁을 전개할 방침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