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선거 때마다 투표소에서 투표보조 지원을 거부당하거나 휠체어가 입구에서 가로막히는 등 다양한 유형의 차별이 발생한다. 장애인들은 선거 앞뒤로 심각하게 침해되는 장애인의 참정권을 이야기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지만, 차별 행위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한국피플퍼스트·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으로 구성된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대응팀’은 22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올해 지방선거 투표 과정에서도 장애인의 참정권이 또 침해됐음을 알리기 위해 모인 것이다.

22일 오전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열린 ‘지방선거 장애인 참정권 차별 집단진정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22일 오전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열린 ‘지방선거 장애인 참정권 차별 집단진정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단체들에 따르면 지난 20대 대통령선거 시기에 발생한 장애인참정권 차별과 관련해 지난 5월 9일 인권위 차별진정과 면담을 진행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에 관련 재발방지를 요청하는 항의방문과 면담도 진행했다. 그러나 올해 지방선거 투표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장애인들은 투표소에 접근하기 어려워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임시 기표소를 이용해야 했다 시각장애인들은 점자 보조 용구를 받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응팀은 “뇌 병변이나 자폐 장애인은 활동지원사와 기표소에 함께 들어가는 과정에서 제지당해 기표를 제대로 못 하거나 투표 직후 직원으로부터 이름과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를 요구받는 일도 있었다”며 “또다시 많은 부분에서 차별이 발생했고, 이는 수십 년째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대한민국의 주권자이며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의 가장 중요한 원칙처럼 장애인의 참정권의 권리가 완전히 보장돼야 한다.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국회의장과 각 정당 원내대표들은 정책적 대책 마련을 권고해다라”고 인권위에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