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체계 83%가 병원… 정신재활시설·위기쉼터 태부족
최혜영 의원 “지역사회재활인프라 법적 근거 마련해야”

[뉴스클레임] 등록 정신장애인이 매년 증가해 10만 명이 넘고 정신장애 유병률이 28%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원체계는 여전히 병원 중심인 것으로 드러났다.
5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장애인은 매년 증가해 지난해 기준 10만4000명, 정신질환 평생 유병률은 28%에 달했다.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시재활시설 등 정신건강증진시설 중 정신의료기관은 3년 사이 22%가 늘어 2000개소가 늘었다. 반면 정신재화시설은 346개로 되려 감소했다.
최 의원은 “정신병원 등 의료기관이 지원 인프라의 83%를 차지하고,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신재활시설은 18%에 불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105개 지자체에서는 정신재활시설이 없어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2만5000여명이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심각한 전라남도는 22개 시군 중 20곳에 정신재활시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을 위한 위기지원쉼터 설치 현황도 심각했다. 운영 중인 위기쉼터는 9개소에 불과한데 이마저도 모두 수도권에 소재해 있다. 정신장애인이 수시로 방문해 회복하는 곳으로 정신장애인의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기 위해 위기지원쉼터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법에 지원 근거가 없어 지역사회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것.
최 의원은 “미국의 경우 23시간 위기안정 관측, 24시간 위기 핫라인, 동료지원 위기쉼터, 정신과적 사전의료의향서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영국도 당사자 거주지 인근 위기 개입 서비스를 도입해 입원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정선건강 서비스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정신재활시설과 위기지원쉼터를 지원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회복할 수 있는 인프라가 크게 부족해 정신장애인이 불필요한 입원을 선택하고, 장기입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어야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당사자와 이웃의 존엄한 삶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