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 기자회견
56개 시민사회단체 "정부의 우크라이나 대한 직·간접적 무기 지원 반대"

[뉴스클레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오는 24일이면 1년을 맞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을 앞두고 23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광장 소라탑 앞에서 56개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러시아 난민 보호하라', '침략을 거부할 용기', '무기지원 반대', '전쟁은 답이 아니다' 등의 문구가 적힌 손피켓을 들고 "이 전쟁이 하루빨리 끝나도록 하는 것은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라고 말했다.
이들은 러시아의 침공 지속을 규탄하고, 중재와 평화협상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부족했다고 비판했다.
또 한국의 무기 산업이 전쟁의 비극 속에서 호황을 맞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해야 하는 시급한 일은 무기 수출이 아닌 전쟁을 피해 한국으로 피난 온 난민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언에 나선 전쟁없는세상 쥬 활동가는 "지난달 30일 나토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무기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국방부 장관은 구체저인 답변을 피했다. 살상무기 지원은 없다는 기존 입장에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무기 지원을 통한 개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당장 중단해야 한다. 무기를 공급할수록 폭력과 적대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인적·물적·생태적 피해만 늘어날 것이다. 이득을 보는 것은 빙산업체뿐이다"라고 꼬집었다.
전진한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국장은 "전쟁은 인류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최대의 위협이다. 보건의료인들은 오직 평화만이 해결책이라 생각하고 일체의 무기 지원과 군사적 대립을 확대시키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종찬 공익법센터 어필 소속 변호사는 "인천공항에 러시아 난민 신청자들이 사실상 갇혀있으면서 지난 5개월간 난민 심사가 이뤄지길 기다리고 있다. 법원에서 2명에게 난민 심사를 해야한다고 했지만 정부는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가 난민 보호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