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사망한 기간제 교사에 학부모 협박 확인"

지난 7월 2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긴급 추진 과제 제언 및 법안 신속 입법을 촉구하는 서울시교육청-교직 3단체 긴급 공동 기자회견에서 사립초등학교에 교사로 재직하던 딸이 교권 침해 피해로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유가족이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지난 7월 2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긴급 추진 과제 제언 및 법안 신속 입법을 촉구하는 서울시교육청-교직 3단체 긴급 공동 기자회견에서 사립초등학교에 교사로 재직하던 딸이 교권 침해 피해로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유가족이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클레임]

올해 1월 숨진 서울의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실제로 학부모의 과도한 민원과 폭언 등으로 정신적 고통을 호소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교육청 공익제보센터는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상명대부속초) 기간제 교사 A씨 사망사건의 민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부모의 과도한 항의와 협박성 발언으로 고인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한 것이 인정된다. 그로 인한 우울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렀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A씨의 사망은 지난 7월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건과 관련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기자회견에서 A씨의 아버지가 "제 딸도 같이 조사해주세요"라고 호소하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A씨의 아버지는 지난 7월 24일 서울 종로구 시교육청에서 열린 '시교육청-교직 3단체 긴급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 딸도 같이 조사해달라. 서이초 선생님과 달리 우리 딸은 꽃 하나 못 받고 죽었다. 서이초 선생님도 짜랑스러운 딸이지만, 제 딸도 자랑스러운 딸이었다. 제발 제 딸도 조사해달라"고 촉구했다. 

A씨 아버지의 민원에 따라 시교유청 산하 공익제보센터는 감사에 착수했다. 

그 결과, A씨는 지난해 6월 담임을 맡은 학급에서 학생끼리 갈등이 생기자 이를 중재하던 과정에서 한 학부모로부터 협박성 발언을 듣고 정신적 고통을 호소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유가족은 한 학부모가 A씨에게 "콩밥을 먹이겠다", "다시는 교단에 못 서게 하겠다" 등의 폭언도 했다고 주장했다.

A씨가 다녔던 정신건강의학과에도 이 같은 내용을 호소한 상담 기록이 남아있었다.

A씨는 우울증 진단을 받고 휴직계를 낸 후 숨지기 전까지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

이번 조사는 유가족 면담·고인의 진료 및 상담 기록 조사·학부모 면담·업무수첨 메모 확보·두 차례 상명대부속초 감사 등을 통해 이뤄졌다. 

A씨의 휴대전화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대한 포렌식을 통해 학부모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와 통화 내역이 확보됐다.

유족 측은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급여신청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학부모의 폭언성 항의에 대해선 형사 고발 여부를 검토 중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