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성인 100명 중 3명은 마약류 사용 경험"

[뉴스클레임]
국민 100명 중 성인은 3명, 청소년은 2명이 마약류 사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마약류에 대한 인식 수준과 마약류 사용에 대한 동기·지식 수준 등을 조사한 ‘2023년 마약류 폐해인식 실태조사’를 12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실태조사는 최근 젊은 층 중심으로 마약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마약류 관련 인식을 정확하게 파악해 차별화된 예방 교육‧홍보, 효과적인 사회재활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했습니다.
성인(만19~59세)은 3000명, 청소년(만14~18세)은 2000명(95% 신뢰수준에서 성인 ±1.79%, 청소년 ±2.19%)을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성인은 대마초(95%), 코카인(93.7%), 처방전이 필요한 마취제(90.5%) 순으로, 청소년은 코카인(90.2%), 대마초(90.2%), 마약성 진통제(83.5%)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습니다.
반면 인지도가 낮은 마약류 물질로는 캐치논류(성인 5.8%, 청소년 9.6%), 케타민(성인 21.3%, 청소년 11.8%) 등이었다.
각종 마약류 물질 중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해 봤다고 응답한 성인은 3.1%, 청소년은 2.6%였습니다.
주변 사람들 중 대마초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성인은 4.7%, 청소년은 3.8%였습니다. 향정신성약물을 사용할 것 같다고 응답한 성인은 11.5%, 청소년은 16.1%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성인은 86.3%, 청소년은 70.1%가 대한민국을 마약 청정국으로 보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성인 92.7%, 청소년 84.4%는 국내의 마약류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마약류 문제의 심각성과 마약류 사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인 89.7%, 청소년 84%가 국내에서 직접 마약류를 구하고자 할 경우 인터넷 사이트·SNS·지인 소개 등의 경로를 통해 마약류를 구할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마약류 사용의 동기를 물어보는 설문에서 성인의 경우 대처동기 37.8점, 고양동기 31.3점, 사회동기 15.9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청소년의 경우 대처동기 31.9점, 고양동기 22.8점, 사회동기 12.0점으로 답했습니다.
성인과 청소년 모두 마약류 사용은 우울‧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마약류나 약물남용의 위험성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성인은 63.5%, 청소년은 67.6%로 나타났습니다.
마약류가 유발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성인은 56.2%, 청소년은 57.8%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성인 46.5%, 청소년 48.6%는 마약 용어의 상업적 사용이 마약에 대해 친숙한 느낌을 준다고 답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