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 ESG슬로건. 롯데칠성음료 제공
롯데칠성음료 ESG슬로건. 롯데칠성음료 제공

[뉴스클레임]

오랜 기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료·주류 기업으로 자리 잡은 롯데칠성음료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고자 ESG 경영에 기초한 '지속가능성' 역량을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대표이사 박윤기)는 무라벨 페트병 제품의 최초 개발, 맥주의 투명 페트병 선도적 전환 등 패키지 자원순환을 위한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 재생원료를 활용한 rPET 제품의 도입과 재활용에 용이한 패키지를 개발하는 등 꾸준한 패키지 혁신을 통해 선도적으로 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2020년 1월 국내 생수 브랜드 최초로 페트병 몸체에 라벨을 없앤 무라벨 제품 '아이시스 8.0 ECO'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롯데칠성음료가 지난 4년간 무라벨 제품 확대의 노력을 지속한 이래, 플라스틱 라벨의 절감량은 2021년 82톤, 2022년 176톤, 2023년 182톤에 달했습니다.

무라벨 제품은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에게 생수 구매의 주요 기준으로 떠올라 전체 생수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칠성사이다 제로', '트레비' 등 다른 제품군에도 지속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아이들을 대상으로 기후·환경 위기 문제를 인지하고 스스로 사회적 실천을 해나가는 환경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EBS, 초록우산과 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어린이 환경 교육 또한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롯데칠성음료는 2023년 ESG 경영 성과를 담은 '2023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고, ESG 경영 실천과 순환경제를 위한 '2023 플라스틱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습니다.

이에 2030년까지 석유에서 추출된 원료로 만들어진 선재 플라스틱 사용량을 2023년 대비 2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플라스틱 용기 경량화'와 '재생원료 사용 확대'라는 두 가지 추진 전략을 내세웠습니다.

이 외에도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 동참을 계기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식음료 기업 최초 'RE100'에 가입 후 태양광 설비의 도입, 공장 폐열 회수 등 당사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안성공장 태양광 설비의 가동을 시작으로 안성사출공장, 충주 2 공장에도 태양광 설비를 통한 재생에너지의 자가소비 전환 시스템을 갖추는 등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전체 사용 전력량의 6.8%의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환경 정보 공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원료의 채취·생산·유통·폐기 등 전 과정의 환경영향을 계량화한 '환경성적표지 인증'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롯데칠성음료 '환경성적표지 인증' 제품은 총 18종이며, 이 중 '칠성사이다 1.5L' 등 11종 제품은 동종 제품군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아 '저탄소제품 인증'을 추가로 획득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지난해 ESG 기준원의 환경분야 평가에서 이전보다 한 단계 상승한 A+ 등급을 받았습니다. 지난 4월 킨텍스에서 열린 '제18회 대한민국 패키징 대전'에서 새롭게 선보인 맥주 크러시의 투명 페트가 '기술성, 지속가능성, 시장성, 표현성' 등의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