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교과서 도입 중단 촉구 범국민 서명 결과 발표
공대위 "AI디지털교과서 도입 즉각 중단하라"

[뉴스클레임]
126개 교육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AI디지털교과서 중단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AI 디지털교과서에 1조원 넘는 혈세를 쏟아붓는 것은 재정 낭비에 에듀테크 산업계만 배 불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대위는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9월 6일부터 10월 1일까지 이뤄진 서명 결과를 발표했다.
AI디지털교과서 도입 유보를 요구하는 청원은 5만6605명의 참여로 성사된 지 석 달 만에 9만5769명이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공대위는 "이는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중단하라는 목소리가 일부의 요구가 아닌 범국민적인 여론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교육부는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교실혁명’ 추진으로 공교육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말하면서, 그 정점에 있는 AI디지털교과서는 11월 말까지 비공개 방침이라며 숨겨두고 있다"며 "무엇이 두려워 그토록 실체를 숨기려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반발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AI디지털교과서는 ‘수업의 보조 수단’이라거나 ‘활용 여부는 교사가 결정’한다는 식의 홍보로 진실을 가리려는 교육부의 행태는 졸속 추진으로 인한 정책 실패의 책임을 교사에게 떠넘기려는 궤변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또 "학생들의 디지털 중독 문제와 디지털 역량 강화는 구분해야 한다는 이상적인 말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교육부의 AI디지털교과서 정책은 근본부터 잘못된 정책이다. 교육부 정책 추진의 우선순위는 세계 ‘최초’ 도입 여부가 아닌, 아이들을 위한 최선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대위를 비롯한 9만5769명의 국민들은 AI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우려들에 대해 교육부가 ▲장관이 직접 책임 있게 답변할 것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업 재검토에 착수할 것을 요구한다"며 "교육부는 효과도 없는 사업에 지나치게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는 것이 아닌, 충분한 검토를 거치며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에도 "AI디지털교과서 사업을 방치하는 것이 아닌, 국민들의 문제 제기에 응답해야 한다"며 "청문회와 국정감사를 통해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 효과에 대한 검증 미흡 ▲학생의 학습데이터 등 개인정보 보호 체계 미비 등 정책 추진 전반에 걸쳐 제기된 우려를 점검하고 교육부의 정책 강행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