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오는 28일 예정된 임시주총 결과를 자신하며 그룹 경영건을 뺏기지 않고 현행체제가 계속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7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글래드 호텔에서 '한미그룹 밸류업 및 중기 성장전략 기자회견'을 통해 향후 중기 성장전략을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임 대표는 "28일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의 결과와 관계없이 저를 중심으로 하는 경영 체제는 27년까지 계속될 것이고, 12월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이사진 재편을 통한 새 리더십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한미그룹 경영권은 제3자나 기타 세력들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이 아닌, 지난 3월 주총을 통해 주주분들의 선택을 받았고, 현재 이사회의 신임을 받고 있는 저를 중심으로 현행 체제가 계속된다는 말씀이다"라고 전했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새로운 전략 방향의 키워드로 ‘비유기적 성장 (Inorganic Growth)’과 ‘다각화’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한미그룹은 오는 2028년까지 그룹이익을 1조원대로 키울 계획이다.
28일 개최될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은 불가능하며, 설령 이사진이 5:5 동수로 재편돼도 임종훈 대표이사 체제는 2027년까지 계속됩니다. 더불어 내달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41.4%의 지분을 보유한 한미사이언스의 요청이 받아들여지면 이사진 재편을 통한 새 리더십 구축이 가능해집니다.
한미사이언스에 따르면, 내년 3월 정기주총 시 ▲3자연합측 이사진으로 분류되는 3명의 이사진 임기가 만료되고 ▲26년 3월 주총에도 송영숙 회장의 임기가 만료됨으로써 임종훈 대표 측을 지지하는 이사진 진입이 가능해져 지주사 지배력은 보다 확대됩니다.
한미약품의 경우 현재 임종훈 대표 측 이사진이 숫적으로 불리한 구조지만 ▲2025년 3월 정기주총시 3자연합측 1명의 임기 만료 ▲2026년 3월, 5명의 이사진이 한꺼번에 임기가 만료됩니다.
이에 따라 임종훈 대표 측 이사 기용이 가능해져 한미약품의 이사회까지 주도하게 됨으로써이사회를 통한 경영 안정화의 빅 모멘텀이 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27년 정기주총 시 한미사이언스는 임종훈 대표를 비롯한 4인과 한미약품 3인의 이사진 임기가 만료됩니다. 한미약품 등 그룹 경영권 장악 기간 내 임 대표의 경영 능력과 성과를 바탕으로 그룹사 전 임직원을 비롯해 이사회와 주주들의 선택을 받을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임종훈 대표는 한미그룹의 도약을 위한 중기 성장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중기 성장전략의 핵심은 그간 고수했던 한미만의 성공방정식에 적극적인 인수합병, 투자 및 제휴 등 외적(inorganic) 외적 성장동력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번에 공개된 중장기 성장전략은 신규 TA(Therapeutic Area; 치료영역) 확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외부 유망 혁신 기술 및 물질 선점,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 다각화, 제약 원료 CDMO 사업 확대, 온라인팜의 유통 역량 강화 등의 그룹 전반의 세부 전략 과제들을 포함했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한미그룹의 중기 전략 달성을 위해 최대 8,000억 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한미약품 지분구조는 현재기준 한미사이언스가 41.419%를 보유해 압도적 최대주주이며 9.998%를 보유한 국민연금이 2대주주입니다. 3자연합이 보유한 지분은 9.141%에 지나지 않습니다.
한미사이언스 지분구조는 현재 ▲임종훈 대표측의 지분이 25.6%▲송영숙 회장등 3자연합 측 지분이 33.78% ▲친인척으로 분류되는 지분이 3.10% ▲가현문화재단 및 임성기재단이 8.09% ▲국민연금이 5.8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미사이언스는 28일 임시주총에서 그룹 내 가현문화재단, 임성기 재단이 공정하고 중립적인 의결권 행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가용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재단이 본래의 설립취지와 목적에 맞게 운영되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게 압박을 가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