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병원·돌봄 노동자 시국선언 대회
의료연대본부 "가짜 의료개혁, 의료민영화 정책 퇴진시켜야"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병원·돌봄 노동자 시국선언 대회'. 사진=의료연대본부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병원·돌봄 노동자 시국선언 대회'. 사진=의료연대본부

[뉴스클레임]

병원·돌봄 노동자들이 윤석열 퇴진과 함께 가짜 의료개혁과 의료민영화 정책도 함께 퇴진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이하 의료연대본부)는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병원·돌봄 노동자 시국선언 대회'를 열고 "대통령 직무는 정지됐지만 '의료민영화 쿠데타'는 지금도 계속 진행 중이다. 병원비, 간병비 등 걱정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공공의료와 공공돌봄이 확대되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본부는 "3일 전 국회 앞에는 다 함께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를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대통령 직무 정지를 만들어낸 순간이었다. 그러나 부족하다. 윤석열이 없는 세상에도 윤석열표 '가짜 의료개혁'은 뻔뻔히 남아있다. '가짜의료개혁'은 국민의 개인 건강정보를 민간보험사에 팔아넘기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10일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금융투자소득세를 폐지했다. 가상자산 과세도 유예했다. 거대 양당이 부자감세로 자본가들이 환영을 받을 때, 노동자와 시민의 건강권은 버려졌다"고 말했다.

이들은 "윤석열 퇴진은 끝이 아닌 시작이다. 우리에게는 공공병원 확충,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보건의료 인력 확충과 노동기본권이 보장되는 세상이 필요하다"면서 "윤석열, 국민의힘, 윤석열의 의료개혁과 의료민영화를 모두 없애자"고 외쳤다.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본부장은 여는 발언을 통해 "4대 개혁과 윤석열을 함께 폐기해야 한다. 윤석열의 연금, 의료, 교육, 노동개혁을 그대로 둔다면 윤석열이 없어도 계엄은 해제되지 않는다. 매일을 윤석열처럼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의료개혁특위를 해체하고 가짜의료개혁, 민간보험 활성화, 의료규제 완화, 의료민영화 정책을 깨끗이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경득 본부장은 "윤석열과 모든 적폐를 치운 자리에 우리가 채워야 할 것은 공공의료다. 공공병상을 늘리고 의료비 부담을 주이고 보건의료인력기준을 법제화하고 공공의사를 양성할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며 "모든 이가 평등하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공공의료, 공공돌봄 확대를 광장에서 외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