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명태균 특검법’ 재의요구
"헌법·형사법 훼손 우려"

[뉴스클레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명태균 특검법’(명태균과 관련한 불법 선거 개입 및 국정농단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최 권한대행은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국무회의를 소집하고 "특검법안의 법적 쟁점, 필요성 등을 국무위원들과 함께 심도 있게 검토했으며 숙고를 거듭한 끝에 재의요구권을 행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실시된 모든 경선과 선거, 중요 정책 결정 관련 사건 및 그 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관련 사건 전부를 제한 없이 수사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수사하면 수사 대상 및 범위가 너무나 불명확하고 방대해 헌법상 ‘명확성의 원칙’과 ‘비례의 원칙’ 훼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특검법에는 기존의 어떠한 특검법안에도 전례가 없는 특검 수사기간 동안 ‘공소시효가 정지되는 규정’과 특별검사의 직무 범위에 ‘이미 진행 중인 재판의 공소 유지 권한’이 포함돼 있다"며 "이는 신속한 수사와 재판을 보장하기 위해 ‘형사처벌을 회피할 목적으로 피의자가 해외로 도피한 경우’ 등 공소시효 정지 사유를 엄격히 적용하는 공소시효 제도의 기본 취지와 헌법상 ‘적법절차주의’를 위배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또 "이미 기소된 사건에 대해 검찰의 공소 유지 권한을 배제하는 것은 수사 미진 시정 등을 위한 특검의 취지에 반한다"면서 "그간 재의요구 한 특검법들에서 지적했듯이 ‘특별검사에 대한 임명 간주 규정’은 대통령의 임명권을 실질적으로 침해해 헌법상 ‘권력분립 원칙’ 위반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권력분립 원칙의 중대한 예외인 특별검사 제도는 행정부의 수사소추권을 합리적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을 때 한해 비로소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특검법안의 수사대상 사건에 대하여는 주요 피의자에 대한 수사와 구속 기소가 진행됐고 제기된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가 진행중에 있고 검찰의 수사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검을 도입하는 것은 특별검사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전국 대부분 낮 기온 15도 이상, 전라권 내륙 20도↑… 강원동해안에 대기 매우 건조
- [클레임톡] 국회 목욕탕도 ‘설전’
- 도시빈민·노점상 생존의 희망, 윤석열 파면
- 햄버거 가격 오른다… 한국맥도날드, 평균 2.3% 인상
- KB국민카드 "지친 일상에 재충전을"
- 교촌치킨-코카콜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 신한은행, '인천국제공항 스마트패스' 탑재
- 아모레퍼시픽-바스프, 피부 저속노화 자외선 차단기술 개발
- 세계 물의 날… 오비맥주, 하천 정화 캠페인
- NH농협은행, 온실가스 감축 지원
- 풀무원, '넷제로 시스템' 구축… 국내 식품업계 최초
- 오리온그룹,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 후원
- 롯데GRS-동반위, '지역 동반성장' 상생 협약 체결
- 홈플러스 "빠르게 정상화 진행 중… 모든 채권 상환 약속"
- 엔씨소프트 '길드워2’, 확장팩 콘텐츠 업데이트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본선 진출자 확정
- 코스피 약보합 출발… 미국 주요 지수 모두 하락
- '소비자가 뽑은 좋은 광고상' 거머쥔 동서식품·농심, 비결은?
- SPC BBQ 롯데하이마트 外(유통家 이모저모)
-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내부통제 실패엔 책임 물을 것"
- 하이트진로, 서울마라톤에 ‘테라 라이트’ 공식 협찬
- 대장균군 기준 초과 '요구르트' 회수
- '명태균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민주당 "내란 종식 거부 선언"
- 참여연대 "8번째 거부권… 최상목 즉각 사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