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CJ온스타일이 영상 콘텐츠 지식재산권(IP) 중심의 커머스 전략으로 모바일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습니다.
CJ온스타일(대표이사 이선영)은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모바일 앱 누적 체류 시간이 전년 대비 110% 증가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특히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 스타IP의 숏츠를 통한 주문 전환율은 164%나 증가했습니다. 단순 시청을 넘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며 콘텐츠 커머스의 저력을 입증한 것.
핵심은 ‘보는 재미’와 ‘사는 재미’를 동시에 잡은 영상 콘텐츠IP 경쟁력에 있습니다. '한예슬의 오늘 뭐 입지', '유인나의 겟잇뷰티', '안재현의 잠시 실내합니다' 등의 대표 모바일 라방IP는 기존 특가 중심의 라방 문법을 완전히 바꿔 놨다는 평가입니다. 팬덤을 기반으로 한 ‘발견형 커머스’가 본격화된 것입니다.
앱 개편 전략도 주효했습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4월 앱 홈 화면을 영상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며 ‘영상 쇼핑 플랫폼’으로 탈바꿈한 바 있습니다. 모바일 앱 메인 화면부터 일반 이미지 배너가 아닌 숏츠로 고객 눈길을 사로잡고, 앱 상단엔 모바일 라이브쇼 탭을 통해 한눈에 인기 라방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MZ세대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영상 콘텐츠IP 경쟁력에 성수 팝업스토어 효과까지 더해지며, 4월 기준 2534세 앱 사용자 수는 전년 대비 50% 증가했습니다. 5월에는 박세리의 '큰쏜언니 BIG세리', 오스틴강의 '셰프의 공구마켓' 등 신규 IP도 론칭하며 트렌드에 민감한 세대를 확실하게 록인(Lock-in)한다는 계획입니다.
영상 콘텐츠IP 경쟁력은 외부 지표에서도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CJ온스타일은 4월 ‘월간 급상승 앱 50’ 중에서 쇼핑 앱으로는 네이버플러스스토어와 롯데마트제타에 이어 3위에 올랐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