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대변인 "김민석 후보자 자진사퇴 가능성 안보여"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사진=김민석 페이스북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사진=김민석 페이스북

[뉴스클레임]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파행 속에 종료된 가운데, 국민의힘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 김민석 총리 후보자를 어떻게 했을까"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김동원 대변인은 27일 논평을 내고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결국 파행으로 막을 내렸다. 여야 어느쪽의 책임인가는 국민의 판단에 맡기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현재로선 이재명 대통령이 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김민석 후보자의 자진사퇴 가능성은 더더욱 안보이는 상황"이라며 "일각에선 김 후보자 잇단 의혹 관련한 여론 흐름의 이상기류를 보고, 임명 강행은 ‘잘 나가는 듯한’ 이재명 정권의 향후 명운이 달렸다는 시각도 터져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원 대변인은 "문재인 정부의 정권 재창출 실패는 ‘조국사태’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은 여전히 유효하다. 조국사태의 핵심은 국민적 상식과 정권 핵심부의 상식이 너무 큰 차이를 보인것에 대한 ‘국민적 분노’ 아니었나"라며 "당시 문 정권의 내로남불에 기대를 접은 국민들께서 혹시 이재명 정권도 비슷한 행로를 걸을까 불안한 모습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이재명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김민석 후보자 문제가 새 정부 개혁의 걸림돌로 작동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면, 그를 과감하게 버리고 미래로 가는 선택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아시는 대로 청문회는 2000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처음 도입된 제도다.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고위공직자를 임명하는 편한 길 대신에, 철저하게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국민적 시각과 상식이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자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김대중 정부에서 총리로 지명된 장상 후보자 등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낙마한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면서 "만약 김대중 대통령이었다면 이번 김민석 총리 후보자 임명을 어떻게 처리했을까. 국민여러분의 판단은 어떠한가"라고 물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