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김충현 협의체 구성 지연 규탄
"김충현 협의체, 빠르고 제대로 구성해야"

[뉴스클레임]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이하 김충현 대책위)가 1박2일 노숙농성을 시작으로 대정부 투쟁에 돌입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약속한 '김충현 협의체'의 즉각 구성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김충현 대책위는 2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김충현 협의체 구성 지연 규탄·약속이행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정부의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농성에 돌입한다. 대책위의 투쟁에 정부는 또 다른 약속이 아닌 실행으로 답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달 16일 후보자 자격으로 고인의 빈소에 방문했다. 그 자리에서 총리는 유가족과 대책위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안전문제’ 등을 다루는 것에 있어 이전 '김용균 노동자의 죽음 이후 정부 합의안에서 출발하되, 거기서 갇히지 않고 나아가는 방향도 생각해보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혔다.
또 "이재명 대통령도 김충현 사망사고의 문제의 해결을 중요하게 언급했다. 지난달 2일 이재명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김용균 군이 세상을 떠난 그 현장에서 같은 비극이 또 일어났다. 고인의 죽음이 또 하나의 경고로 끝나지 않도록 저 이재명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달 6일 강훈식 비서실장 역시 대책위의 의견서를 직접 받는 자리에서 '이전 정부와 다르게 이 정부에서만큼은 노동자가 더 눈물을 안 흘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대책위는 "더 이상의 말은 약속을 지연시키는 약속, 실행을 유보하는 공허한 다짐일 뿐이다. ‘김충현 협의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야기를 최대한 많이 청취하는 사회적 대화기구나 거버넌스가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통령, 김민석 총리 모두 김충현과 그의 가족들, 살아있는 동료들에게 거짓말을 한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충현 협의체’는 김충현 사망사고의 원인 규명이 일차적 목적이며, 김충현을 죽음에 이르게 만든 ‘위험의 외주화’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논하는 자리이다. 이 자리에는 ‘기계적 중립’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며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는 ‘김충현 협의체’를 빠르게, 제대로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