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반복되는 죽음… 산업현장은 안전 사각지대, 책임은 누구에게 묻나

“우린 사람 아니에요. 기계 옆에 매일 같이 선 것도 죄입니까.”
지난 28일, 경남 함양~창녕 고속국도 공사 현장에서 비명을 뒤로 하고 한 노동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졌다. 그가 일하던 곳은 대한민국 7대 건설사 포스코이앤씨(사장 정희민)의 공사 현장이었다. 이로써 포스코이앤씨(정희민)는 단 한 달, 정확히는 29일 만에 4번째 노동자를 잃었다. 2025년 들어선 일곱 번째 죽음이다.
대기업 이름값이 무색할 만큼, 포스코이앤씨(정희민)의 현장은 사망 사고가 일상처럼 반복되고 있다. 후진국형 참사가 반복되는데도, 수년째 시스템은 제자리다. 도대체 현장엔 어떤 안전망이 있었길래, 이토록 노동자의 생명을 가볍게 잃을 수 있었던 걸까.
■대통령까지 나섰다: “미필적 고의, 살인과 다름없어”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참사를 두고 “생명을 빼앗는 산업재해는 더 이상 ‘사고’가 아니라 ‘범죄’”라고 직격했다. 29일 오전 긴급 브리핑에서 그는 “명백한 미필적 고의이자, 실질적 살인이다. 반복되는 사망은 구조적 고발이며, 책임은 반드시 윗선에까지 묻겠다”고 강도 높게 말했다.
정부는 즉시 고용노동부를 통해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65개 전국 소속 현장에 대해 전격적인 특별감독을 착수했다. 사고 원인을 넘어, 조직적 은폐·무대응 여부까지 전방위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처벌불원서 돌리던 회사”… 생명은 책임이 아닌 문서로 덮고 있었다
문제는 이번 사고만이 아니다. 그전에도 포스코이앤씨는 수차례 대형 사망사고를 겪었지만 책임지는 자세는커녕 책임 회피에 급급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2025년 상반기 속속 드러난 정황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몇몇 사고에서 하청업체 대표와 공조해 유가족에게 ‘처벌불원서’를 요청하거나 피해자 방치, 명백한 안전불감증 행위가 반복돼왔다.
지난 3월 신안산선 건설현장 터널 붕괴 당시에도, 외국인 노동자가 감전된 채로 40분 넘게 방치된 사실이 드러났다. 그가 구조됐을 땐 이미 사망 상태였다. ‘사람이 죽는 순간까지 방치된 현장’은 그 자체로 형사 책임을 피할 수 없는 근거라는 것이 전문가들 평가다.
■"왜 이 회사만 유독 그럴까"… 건설 대기업의 구조적 타락
건설업계 관계자 A씨는 “포스코이앤씨는 기술은 세계적이지만, 안전은 후진국 수준”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안전관리 인력을 줄이고, 구조적으로 너무 많은 일을 하청에 맡겨요. 정작 책임은 하청에 돌리니 사고가 나도 죄책감이 없다는 게 현장의 분위기입니다.”
올해 들어 포스코이앤씨는 김해 아파트 신축(1월), 신안산선 터널(3월), 대구 주상복합 외벽(6월), 함양~창녕 고속국도(7월) 등에서 모두 7명의 노동자 생명을 앗아갔다.
이에 대한 처벌은 단 한 명의 CEO도 받지 않았다. 중대재해처벌법은 몇 차례 적용 시도조차 거치지 못했다. 사망 사고가 나도 CEO는 ‘몰랐다’, ‘하청 책임이다’라는 말만 반복되며 법망을 비껴가고 있다.
■정부의 칼날, 이번엔 제대로 갈까
고용노동부는 29일 오전 “이번 사고뿐 아니라 기존 사고에 대해서도 포괄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장 책임자뿐 아니라, 경영진에 대해 ‘총괄책임’이 있었는지를 조사해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이대로라면,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가장 많은 노동자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기업으로 기록될 공산이 크다. 기업의 성장보다 더 시급한 것은, 이제 더 이상 사람이 죽지 않는 구조다.
반복되는 비극의 끝에서 우리는 오늘도 묻는다. 도대체 이 회사에선, 사람이 왜 이렇게 죽어나가는 걸까.
